
정부가 건전지부터 전자제품 내장 전지까지 전지류 회수 체계를 하나로 통합한다. 폐배터리에서 회수된 황산니켈 등 유가금속을 재생원료로 인증하고 사용후 배터리를 국가 핵심 자원으로 육성해 순환이용을 활성화를 지원한다는 취지다.
환경부는 21일 엘더블유컨벤션에서 한국환경공단,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 이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전지류 통합회수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현재 건전지, 리튬일차전지 등 일차전지류는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건전지 수거함을 통해 배출 후 비정기적으로 회수된다. 전자제품에 내장된 리튬이차전지는 이순환거버넌스가 자체 운영하는 무상방문 수거, 전자제품 이동식 수거함 등을 통해 상시 회수되는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전국에서 배출되는 폐전자제품을 200여 대 회수 차량을 활용해 상시 회수 중이다.
그간 일차와 이차전지류는 외형적으로 구분이 되지 않아 분리배출이 어려웠으며, 특히 일차전지류는 회수 주기가 길어 수거함이 장기간 방치됨에 따라 오염물질 누액, 화재 등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이순환거버넌스와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는 통합회수 체계를 구축하고 전자제품 상시 회수 체계를 활용하여 건전지(일차전지류), 전자제품 내장 전지(이차전지류) 등 다양한 종류의 폐전지를 신속하게 회수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전지류 통합회수 추진위원회'를 운영하고 관련 제도 개선 및 행정적 지원을 총괄한다.
업무협약 참여 기관들은 유동 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대형마트, 다중이용시설 등을 중심으로 일차전지류와 이차전지류를 일괄 배출할 수 있는 통합 수거함 1000여 개를 추가로 설치하여 전지류의 배출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앞으로 국민들은 일차전지와 이차전지 종류 구분 없이 기존 공공주택(아파트) 등에 설치된 건전지 수거함, 전자제품 이동식 수거함 또는 무상방문 수거 시 어디에나 쉽고 편하게 배출할 수 있다. 세탁기, 냉장고 등 대형 제품 무상방문 수거 시에도 전지류 배출이 가능하다.

통합회수 체계 도입을 계기로 수거 지연으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배출 편의성과 회수 효율이 높아져 전지류의 재활용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민 누구나 전지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쉽게 배출할 수 있는 회수 체계를 현장에 정착시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지류 자원순환 체계를 조성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