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에너빌리티가 대한항공과 항공엔진과 무인 항공기 개발에 나선다.
두산에너빌리티는 16일 창원 본사에서 대한항공과 항공엔진·무인 항공기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고민석 두산에너빌리티 GT개발 담당,김경남 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장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두산에너빌리티는 항공엔진 개발을 담당하고, 대한항공은 항공기 체계를 개발한다. 항공기 체계는 항공기 구성 요소와 이들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말한다. 양사는 5000~1만5000lbf급 중대형 무인기용 엔진 개발과 100~1000lbf급 소형 무인기용 엔진 개발에 협력할 예정이다.
최근 두산에너빌리티는 항공엔진 개발을 위해 민관과 협력 범위를 늘리고 있다. 지난해 12월엔 한국항공우주(KAI)와 항공엔진 개발 업무 협약을, 올해 1월엔 국방과학연구소와 항공엔진 시험과제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정부가 밝힌 항공엔진 중장기 계획과도 맞닿아 있다. 정부는 항공엔진 국산화를 위해 2030년대초까지 1만lbf급 무인기용 엔진과 1만5000lbf급 항공엔진 기술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
항공엔진은 항공기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기기다. 미국과 영국, 프랑스와 러시아 등 세계적으로 소수 국가만이 항공엔진 자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항공엔진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발전용 가스터빈 원천기술을 확보했으며, 특히 항공엔진 개발의 핵심이 되는 고온부품 자체개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손승우 두산에너빌리티 파워서비스 BG장은 “소형에서 중대형에 이르는 항공엔진 라인업 국산화를 목표로 협력과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그간 발전용 가스터빈 사업에서 쌓은 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항공엔진 기술 개발과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