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은 18일 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학과에 획기적인 장학제도를 도입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무상교육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가 AI 인프라 확충을 위해 연내 고성능 GPU 1만장을 확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하기로 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AI 경쟁에서 밀린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는 생즉사, 사즉생의 절박함으로 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AI 시대엔 타국에 종속되지 않는 AI 주권 구축이 필수”라며 “독자적 AI 기술을 확보하지 못하면 경제뿐 아니라 사회, 나아가 안보 측면에서도 치명적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당정은 이날 우리나라의 AI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컴퓨팅 인프라 조기 확충 △ AI모델 개발할 고급AI인재 확보 △스타트업 육성 등이 절실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우선 민관 협력을 통해 국가 AI 인프라 조기 확충에 나선다. 특히 연내 고성능 GPU 1만장을 확보, 국가 AI컴퓨팅 센터 서비스를 조기 개시하기로 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내년 상반기까지 기존 2000장(2023년 기준)이던 최첨단 GPU 보유량을 2만장으로 10배 확충해 기업과 연구계가 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또 당정은 AI, 반도체, 2차전지, 바이오 등 국가첨단전략기술을 연구하는 청년들이 마음껏 도전할 수 있도록 획기적인 장학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관련 학과 대학생에게 획기적인 국가 장학제도를 도입하고, 중장기적으로 무상교육이 실현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최근 딥시크 사용자 정보가 중국 소셜미디어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에 위법적으로 유출된 것이 드러난 점에 대해서는 강한 우려를 표했다.
권 원내대표는 “1월 말 기준 딥시크의 주간 이용자가 121만 명에 달했던 점을 고려하면 대단히 중대한 사안”이라며 “중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기업에 사용자 정보 데이터를 요구하면 기업은 반드시 제공해야 한다는 점도 국민들의 불안을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정은 철저한 진상조사와 보안 강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AI 발전에 필수적인 주 52시간 예외 조항이 담긴 '반도체특별법'과 '전력망 확충법'의 조속한 통과도 촉구했다. 이와 함께 정부에도 “지난해 12월 마련된 AI 기본법 시행령 마련에 속도를 내고, 현장 목소리를 반영해 AI 기본법의 실효성을 갖춰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부족한 AI 컴퓨팅 자원을 확보해 AI 모델, 인재 등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AI 국가 역량 강화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인재들이 다시 국가로 돌아올 수 있도록 방안을 반드시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이번 주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개최, '국가 AI 역량 강화 방안'의 세부 추진전략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