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경제안보를 잇달아 뒤흔들고 있다. 중국 10% 보편관세, 철강·알루미늄 25% 관세에 이어 상호관세는 4월 1일(이하 현지시간), 자동차 관세는 4월 2일 이후 부과하겠다고 공세를 지속했다.
한미 정상외교가 사실상 불가한 우리나라는 삼성전자와 현대차 등 주요 기업이 경제사절단을 꾸려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압박에 대응한다. 사절단은 백악관과 의회 주요 인사를 만나 인공지능(AI)·반도체·원유·자동차 등 5대 분야 협력모델을 제시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1일 이후 세계 모든 나라에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대통령 각서에 지난 13일 서명했다. 상대국 비관세장벽까지 포함해 미국 무역적자를 만회하는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명확히 했다.
비관세장벽은 미국보다 높은 자동차 안전기준과 부가가치세를 비롯해 자국 기업에 대한 규제 법률까지 포함한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국가별 관세 및 비관세장벽에 대한 연구를 거쳐 이르면 4월 2일부터 상호관세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모든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4월 2일께 내놓겠다고 밝혔다. 반도체 산업도 되찾아올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그는 전임 바이든 정부가 추진한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도 추진키로 했다.
자동차와 반도체는 우리 수출 1·2위 품목으로 대미 무역흑자를 이끄는 산업이다. 이에 대한 관세 부과 등의 압박이 현실화하면 가뜩이나 정치 불확실성에 시름하는 우리 경제에 타격이 불가피해진다. 이에 삼성전자·현대차 등으로 꾸려진 경제사절단이 19~20일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해 민간 차원의 대미 통상외교에 나선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SK 회장)을 단장으로 자동차, 반도체, 철강, 조선, 에너지, 플랫폼 산업계 대표가 대거 참여한다. 26명의 사절단은 관세 문제를 비롯해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협력을 위한 액션플랜을 소개한다. 구체적으로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조선 분야 협력 △완성차·부품 제조시설 투자 △미국 차세대 원전 개발과 SMR 협력 △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 등이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