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車·반도체 관세 공세, 피해 최소화 전략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다른 나라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 부과 포고문에 서명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철강 제품 미국 수출에 있어 2018년 트럼프 1기 집권때 263만톤(t)까지 쿼터를 둠으로써 무관세를 받아오던 것에서 다음달 12일부터 25% 관세 적용을 받는다. 관련 산업 피해가 불가피해 졌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예고된 수순대로 착착 관세를 발표해온 터라 우리나라 대미 주력 수출품목인 자동차, 반도체분야 관세 부과도 이미 정해진 조치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수출과 수입 모두 관세 부담 없이 확장해온 양국의 자동차·반도체 교역에도 관세 문턱이 다시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위대한 산업들이 미국으로 되돌아 오도록 해야할 때”라고 분명히했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마가)'라는 선거 구호로 재집권 한 만큼, 제조업 강국 미국의 본모습을 되찾겠다는데 실질적인 목적이 있는 조치인 것이다.

자동차·반도체는 우리나라의 전략 수출 품목임과 동시에 이미 미국의 자국내 제조업 및 일자리 복원 조치에 상당부분 부응하고 있는 품목이다. 현대차그룹이 발휘하고 있는 파워트레인별 최상의 경쟁력과 미국 조지아 주 메타플랜트(HMGMA) 준공을 통한 현지 생산 확대 등의 예정된 조치를 밟아 나간다면 관세로 인한 직접 피해는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반도체분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각각 텍사스 오스틴과 애리조나주에 투자한 생산라인과 앞으로 확대할 라인 등을 차질없이 진행하면서 미국 정부의 압박에 대응해야 할 것이다.

여전히 남는 문제는 철강 포함 자동차, 반도체분야 직접 수출이나, 미국내 공급업체 다변화를 추진중인 중견, 중소기업들이다. 이들을 위해선 직접 대응에 한계가 분명한 만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미협상과 지원이 절실해 보인다. 공식, 비공식 접점을 찾아 미국과의 교감 채널도 늘려야 한다.

갑자기 쏟아지는 소나기는 피하고 보는게 상책이라지만, 지금의 미국 관세 조치가 단기간 내 끝날 기미는 없어 보인다. 따라서 트럼프 2기 4년 동안의 중견·중소기업의 대미 수출 품목별 영향과 전략을 종합적으로 정부가 짜고, 그에 맞는 지원책을 실속있게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진호 기자 jhole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