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이공 분야 대학부설 연구소를 국가지정연구실로 지정, 자율적 예산 운용 권한 등을 부여해 연구 역량과 지원 체계를 개선하는 '국가연구소(NRL 2.0)'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국가연구소 사업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하고 오는 4월 말까지 신규 과제 접수를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과기정통부와 교육부가 협업해 세계적 수준 연구를 선도할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 연 100억원을 10년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4개 연구소를 선정하며, 선정된 연구소는 자율적 예산 운용을 통해 연구인력 확충, 연구시설·장비 구축, 국내외 공동 R&D 등을 추진하게 된다.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부처-학문-주체 간 경계를 허물어 연구소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병행하는 한편, 대학 내 학과 및 외부 연구기관과 협력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 대학별 자율적 투자를 보장해 연구·인력·시설 등 패키지 형태로 지원하고, 각 대학 발전 전략과 연계해 독창적이고 다양한 연구 혁신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사업 지원 대상은 이공 분야 대학부설 연구소로 기존 연구소 외에도 연구소 재편 또는 신설 연구소도 신청 가능하다.
신청 연구소의 연구소 역량 및 발전계획, 대학 연구소 육성 의지 등을 종합 평가, 선정된 연구소는 오는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한다.
국가연구소는 대학 본부 소속 직할 연구소로 운영하고, 겸임 교원 및 전임 연구원, 행정 지원 인력 및 장비 엔지니어, 박사후연구원 등을 포함해 대형·복합 연구수행을 위한 적정 인력으로 구성하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소 사업추진과 더불어 기존 집단연구 지원도 이어갈 계획이다. 연구 주제·집단별 맞춤형 지원 체계를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교육부는 대학 역량에 맞는 연구소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국가연구소-대학기초연구소지원(G-LAMP)-글로컬랩'으로 이어지는 대학혁신연구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첨단 연구 전초기지인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은 국가적으로 매우 시급한 과제”라며 “이번 사업이 국내 대학 연구 역량 제고와 선도형 연구시스템 확충에 기폭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대학 연구 경쟁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려 국내 대학 연구소가 국제사회의 연구 혁신을 이끌고 국내외 우수 인재가 몰려드는 연구거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