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2차 미세플라스틱 인체 미치는 악영향 규명

환경에 의해 자연적으로 변하는 2차 미세플라스틱 생성모델 확립해 미세플라스틱 유해성 조명

Photo Image
왼쪽부터 DGIST 김희연 연구원, 핵심단백질자원센터 최성균 센터장, 경북대학교 박진규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최성균 핵심단백질자원센터장이 박진규 경북대 수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플라스틱이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실험실 수준에서 구현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섭취 시 뇌 안에서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한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간 800만톤이 버려지고 있는 플라스틱은 자외선과 파도 등에 의해 매우 작은 조각들로 부서져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바뀐다. 이를 플랑크톤 등 하위 생명체들이 섭취하게 되고, 결국에는 먹이 사슬 최상위에 위치한 인간에게까지 위협을 준다.

Photo Image
자연에 방치된 2차 미세플라스틱이 뇌에 더 심각한 염증 유발한다는 연구관련 이미지

연구팀은 환경으로 유출된 플라스틱으로부터 자연 풍화로 인해 생성된 2차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우선 분쇄한 미세플라스틱에 7일 동안 자외선 조사 및 물리적 충격을 가해 인위적으로 자연 풍화에 의한 것과 같은 2차 미세플라스틱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환경으로 유출된 플라스틱이 자외선, 파도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실험실 수준에서 모방한 생성 모델을 확립했다.

이후 2차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파악하기 위해 쥐에게 100㎛ 이하 미세플라스틱을 7일 동안 경구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2차 미세플라스틱 섭취 그룹에서 외부 뇌 조직에서 신경변성과 세포사멸에 관련된 염증성 단백질 발현 증가 및 염증 완화 단백질 발현 감소를 확인했다.

또 연구팀은 뇌에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미세아교세포에 자연 풍화 2차 미세플라스틱이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인간 미세아교세포주(HMC-3)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2차 미세플라스틱이 뇌의 염증 반응 조절을 담당하고 있는 미세아교세포를 자극해 뇌의 염증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2차 미세플라스틱이 뇌에 잠재적인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최성균 센터장은 “환경으로 유출된 플라스틱이 풍화가속 과정을 거쳐 2차 미세플라스틱이 되고, 이것이 뇌에 염증반응과 세포사멸을 증가시키는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프로테오믹스 기반 분석을 통해 최초로 규명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DGIST 융합연구원 중점연구 기관고유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DGIST 핵심단백질자원센터 김희연 연구원이 제1저자, DGIST 최성균 센터장, 경북대학교 수의학과 박진규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환경분야 권위 학술지인 'Environmental Research'에 온라인 게재되었으며,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빛사(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 등재됐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