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화창한 봄 날씨로 상춘객이 늘면서 안타까운 산불 소식이 심심치 않게 들려 온다. 산불은 거대한 산림을 훼손하는 것은 물론이고 인명·재산피해까지 유발하는 결코 반갑지 않은 봄철 손님이다.

산불은 낙뢰 등으로 인한 자연발화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사람의 부주의로 발생한다. 문제는 이러한 산불이 점차 더 큰 규모로, 또 더 잦게 발생한다는 점이다. 과학자들은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산불 횟수가 늘고 규모가 커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주목한다.

산불은 건조한 날씨와 직결된다. 건조한 날씨는 봄철과 같이 강수량이 많지 않아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적어진 상태로 이를 과학용어로 '증기압 결핍'이라 표현한다.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 수증기는 새벽녘 나뭇잎 등에 맺힌 이슬 형태로 바뀐다. 평상시 공기 중 수증기와 포화 상태 중 수증기량 차이가 발생하면 증기압 결핍이 발생하는데 이는 기온이 올라갈수록 더 심해진다. 이 때문에 기온 상승 원인인 기후변화는 곧 산불과 직결된다.

기후변화는 건조한 대기를 만들 뿐만 아니라 잦은 가뭄 환경을 조성하면서 고사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고사목은 수분이 전혀 없는 마른 상태의 죽은 나무로 산불이 발생하면 불을 순식간에 옮기는 불쏘시개 역할을 한다. 바로 이 부분이 대형 산불로 이어지는 이유다.

지구 온난화로 짧아진 겨울도 산불을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앗아간다. 겨울철 내린 눈이 짧아진 겨울로 곧바로 녹아버리면 토양은 그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지구의 대기 순환이 갈수록 느려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하는 부분이다. 기후변화가 적도 지방과 극지방 간 온도 격차를 줄이게 되면서 대기 순환이 정체되면 진화하기 어려울 만큼 산불이 맹렬한 기세로 계속 타오르게 된다. 실제 이는 연구에서도 확인됐다. 포츠담기후변화연구소는 지구 대기가 순환하지 못하고 한 곳에 정체되면서 과거 대형 산불 원인이 됐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즉, 이 같은 기후변화가 복합적으로 산불을 더 자주, 더 크게 발생할 수 있는 필요충분조건을 모두 제공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또한 영동권을 주축으로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계절을 불문하고 잦은 건조경보가 발령되고 있다. 과거에는 겨울철 내린 눈이 쌓인 채 녹지 않은 산 정상의 광경을 봄철에도 간혹 볼 수 있었지만 엘니뇨 현상 등으로 최근 들어서는 볼 수 없게 됐다.

이러한 기후변화가 산불 발생 최적 조건을 만들면서 산불은 이제 특정 계절에만 집중되던 계절적 자연재해가 아닌 상황이다. 이로 인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산불 주의 기간 또한 점점 더 길어지는 추세다. 국내 대형 산불 90%는 3~4월에 집중됐으나 최근에는 그 시기가 2~5월로 반경이 넓어졌다.

기후변화가 대형 산불 원인이 됨은 물론 이 두 관계가 악순환 구조로 더욱 견고해진다는 점은 더욱 우려되는 부분이다.

과학자들은 대형 산불 발생으로 거대 산림이 소실됨에 따라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가 방출, 이는 지구 온난화를 부추기는 주요 요인이 되면서 산불과 기후변화라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구조가 만들어진다고 경고한다. 산림은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지만 불에 타면 매연 등으로 기후변화를 악화시키는 물질을 배출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과학계는 산불과 기후변화 상관관계를 근거로 산불이 단순한 생태계 파괴만으로 그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기후환경과 산불 관계, 생태계와 산불 간 영향, 급변하는 산불의 새로운 규모적 측면과 이로 인한 위협 등을 고려해 산불을 단순한 자연훼손이 아닌 과학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예방법과 최소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인희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