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원격 개발은 헤드카운트(Man/Month) 중심의 낡은 소프트웨어(SW) 개발 환경을 개선할 방안으로 거론됐다. SW 기업이 오랫동안 원격 개발을 요구한 끝에 SW진흥법에 근거가 담겼지만 최종 결정은 발주처 몫인 탓에 활성화가 더딘 상태다. 발주처 인식 개선으로 원격 개발이 활성화되면 비용 절감은 물론 국내 SW 산업 선진화와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등 클라우드 산업 발전도 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수개월 지방근무 부담 커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으로 SW 기업의 어려움은 가중됐다. 지방 체재비와 교통비 등 비용은 상승했는데 공공 정보화(IT) 사업 예산 산정 때 이 같은 요소는 반영되지 않기 때문이다. 수개월씩 다른 지역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만큼 SW 개발자 확보도 SW 기업의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프리랜서와 정규직 가릴 것 없이 오랜 기간의 지방 파견을 꺼리고 있다. 프로젝트 중간에 이탈하는 개발자도 많다는 게 SW 기업의 하소연이다. 플랫폼 기업 성장으로 개발자 품귀 현상이 심화하면서 이 같은 어려움은 가중됐다. 원격 개발이 더욱 주목을 받게 된 이유다.

그러나 공공 SW사업 원격 개발 시행률은 20%대에 그치고 있다. '2021 SW사업자 실적신고'에서 드러난 수치로, 프로젝트 전 단계에서 수행원 전체를 대상으로 원격 개발을 조사한 수치다. 원격 개발 활성화를 위해 갈 길이 멀다는 것을 의미한다.

◇낡은 사업 방식 개선 필요

원격 개발이 활성화되면 SW 기업은 현지 체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장기 파견근무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우수한 개발자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SW 개발자의 근무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는 의미다. 능력 있는 개발자는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강용성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정책제도위원장은 “예를 들어 1개월에 10명이 필요한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A기업은 5명이 할 수 있는 기술력이 있을 수 있고 B기업은 20명 이상을 투입해야 할 수도 있다”며 “납품 방식은 기업 문제일 뿐 이를 일관되게 규정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원격개발을 하게 되면 헤드카운트 방식의 낡은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 SW 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럼에도 현장근무(On-site) 방식이 이를 가로막고 있다는 설명이다.

Photo Image

◇플랫폼이 전부는 아냐

원격 개발을 가로막는 요인은 보안과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 저하에 대한 우려다. 클라우드를 비롯해 공동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플랫폼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공공 사업인 만큼 보안성이 검증된 원격 개발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서 원격개발 지원 플랫폼을 논의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이미 원격으로 공동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도구가 충분한 만큼 별도의 플랫폼 개발은 불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중견 IT서비스 기업 관계자는 “공공 SW사업 원격 개발을 위한 플랫폼이 가동되면 제약이 발생, 원격 개발 활성화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며 “현장에선 또 다른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결국 필요한 것은 플랫폼이 아니라 문화와 인식”이라며 “각 발주처가 원격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선도적으로 원격 개발 허용을 늘려 가는 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표〉원격 개발 법적 근거

[뉴스줌인]원격개발, SW산업 선진화 열쇠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