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위성통신 핵심기술개발 9500억원 예타 신청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저궤도 위성통신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2023년부터 9년 동안 총 95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 위해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민간 중심의 '뉴 스페이스' 시대를 앞당기기 위해 정부가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 위성통신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로 활용하려는 포석이다. 김재현 아주대 교수는 8일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이 급성장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면서 “우리나라의 5세대(5G) 이동통신,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경쟁력을 거대 미래 먹거리인 위성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적시 예산 투입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초 과학기술혁신본부에 오는 2023~2031년 9년 동안 총사업비 9581억원을 투입하는 '저궤도 군집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 예타를 신청했다. 저궤도 통신위성은 지상으로부터 약 300~1500㎞ 고도에 수십~수백여개 소형위성을 발사, 군집화해서 지상 전역을 커버하며 통신하는 기술이다. 이통 공간 제약을 해소하는 6G 핵심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스페이스X와 아마존, 영국 원웹 등이 저궤도 통신위성을 발사하며 시장 선점 경쟁을 본격화했다.

과기정통부는 위성통신 전문가와의 논의를 거쳐 저궤도 위성 관련 핵심부품 자립화와 표준확보, 시험 위성을 통한 기초기술 확보 등을 포함한 전략 방향을 수립했다. 위성통신 시스템과 본체, 통신탑재체, 지상국, 단말국, 관련 부품 등 기술을 집중 개발한다. 핵심기술로 세계 시장과 경쟁할 수 있는 분야에 주력, 수출할 수 있는 부품 분야에 개발 아이템을 집중시켰다. 통신위성 14기를 발사, 민간기업 위성통신 핵심기술 실증을 지원한다. 인프라를 활용해 국토교통부와 해양수산부 등과 협의해 자율 운항 선박, 도심항공교통(UAM) 등의 서비스 실증도 진행한다. 2031년까지 52건의 핵심부품 자립화를 달성하고, 우주검증이력 확보기관 30개 이상을 확보할 계획이다. 국제민간표준화기구(3GPP)의 6G 위성통신(NTN) 표준화에도 대응, 국제표준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리나라는 통신장비·부품·소재·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했지만 위성통신 분야는 걸음마 단계다. 과기정통부는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는 개발 과정 자체에 민간기업이 지속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 민간이 안정적으로 핵심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한다. 단말국의 경우 성과물이 참여 기업에 귀속될 수 있도록 했다. 과기정통부는 다음 달 기술성 평가를 거쳐 내년 상반기 예타 통과를 목표로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