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CCU로 14개 상용제품 확보...2050년 CO2포집비용 톤당 20달러로"

Photo Image

우리나라가 오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포집·활용(CCU) 기술로 14종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확보한다. 이와 함께 중장기 원천기술 확보로 이산화탄소 포집 비용을 2050년까지 톤당 20달러 수준으로 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 부처는 15일 열린 제18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목표를 담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혁신 로드맵'을 상정, 토의했다.

로드맵은 2030년까지 14개 CCU 상용제품 확보, 2040년까지 기존 시장가격 수준의 가격경쟁력 확보 등으로 탄소중립 실현 및 CCU 신시장을 창출하는 게 목표다.

'화학전환' 분야에서는 플랫폼 화합물, 유기산, 유기카보네이트, 탄화수소, 고분자제품군을 선정했다. '광물탄산화' 분야에서는 시멘트 및 건설소재, 무기탄산계 화합물 제품군 등을 낙점했다.

Photo Image

정부는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혁신, 연구개발(R&D) 투자 촉진, 제도적 기반 마련, 실효적 이행 체계 등 4대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기술혁신은 기술경쟁력, 시장경쟁력, 온실가스 감축효과 등을 평가해 이산화탄소 포집, 화학전환, 생물전환, 광물탄산화, 기타 탄소 등 5대 분야별 59개 중점기술을 선정하고 2030년 산업계 적용 가능성 기준으로 '상용화'(2030년 상용화 예상) 및 '차세대'(2050년 탄소중립 기여 혁신) 기술로 구분해 세부 개발 전략을 도출하는 게 핵심이다.

이를 통해 현재 톤당 70달러 안팎인 이산화탄소 포집 비용을 2050년까지 20달러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R&D 투자 촉진은 CCU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전략이다. 정부와 민간의 R&D 투자를 확대하고 성과 창출을 위해 민간 참여를 기반으로 실증·사업화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강화하는 게 골자다.

소규모 CCU R&D 사업에서 벗어나 연 1000억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를 위한 '(가칭) CCU3050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기획, 2023년부터 착수한다.

기업의 투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R&D 세액공제 확대, 정부R&D 매칭비율 완화 등 인센티브 방안도 마련한다.

제도적 기반 마련은 CCU 기술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국가인벤토리 및 감축사업에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제도 기반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Photo Image

정부는 상용화 단계 진입 기술 대상으로 사업장 단위에서 CCU 기술에 따른 감축사업 방법론을 개발하고, 국제협력 등을 통해 국가인벤토리 산정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실효적 이행 체계 핵심은 개발된 CCU 기술이 산업 등 현장에 적용, 실제 이산화탄소 감축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부·민간 추진체계 정비다. 탄소중립위원회 중심으로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총괄협의체'를 구축하고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기술보급, 제도개선, 국제협력 등 CCU 상용화에 필요한 업무가 누락되지 않도록 참여 부처를 확대하는 동시에 참여 부처별 역할을 구체화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CCU 기술혁신 로드맵은 앞으로 정부 R&D 사업에 실질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라면서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과 2050년 탄소중립 실현에 중요한 이정표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선 '바이오헬스 규제과학 발전전략(안)'도 토론 안건으로 올랐다. 혁신제품의 시장진입을 가속화해 환자의 치료기회를 확대하고 바이오헬스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했다.

△규제과학 개념의 정립과 확산 △국가R&D 파트너십 강화 △혁신기술 기반 규제과학 연구 고도화 △규제역량 강화 플랫폼 구축 등의 내용을 담았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