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김성우 김앤장 환경에너지연구소장

“환경·사회적 가치·지배 구조(ESG)를 경영 전반에 반영하지 않는 기업, 나아가 국가는 시장과 국제사회에서 외면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 투자자 목소리 등 모든 환경이 ESG를 요구, 아니 압박하고 있습니다.”

김성우 김앤장 법률사무소 환경에너지연구소장은 새해 벽두에 ESG를 주요 화두로 던졌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적 책임'(Social) '지배 구조 개선'(Governance) 머리말로 지속 가능한 발전에 필요한 투명경영을 지칭한다. 기업은 물론 국가 경영에도 필수 고려 요소로 부상했다.

김 소장은 ESG 경영은 요구를 넘어 생존에 필요한 필수요건이라고 역설했다. 배경엔 세계 주요국의 탄소중립 선언이라는 메가트렌드가 자리하고 있다.

그동안 유럽연합(EU)이 탄소중립에 앞장섰지만, 지난해 9월 중국이 탄소중립 선언으로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어 일본과 한국이 동참했고 대선 공약에 탄소중립 이행을 포함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후보가 당선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김 소장은 “바이든 당선인이 취임하는 이달 기준, 세계 탄소배출량 63%를 차지하는 국가가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셈”이라면서 “미국이 중국, EU와 기후 위기 대응에 협력하면 다른 나라가 따라올 수밖에 없다”고 단언했다.

이어 “바이든 당선인이 취임 이후 기후 정상회의에서 주요 배출 국가의 기후변화 대응에 속도를 낼 것과 이를 올해 말 국제기후변화협상에 반영하자고 제안할 수 있다”면서 “제대로 이행하지 못 할 경우 탄소 국경 조정, 개발금융 지원 제한 등 적극적 행동에 나설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금융시장은 이미 변화가 뚜렷하다. 환경 관련 주주 제안 중 70% 이상이 기후 관련 제안이고 단순 공개 요구가 아닌 구체적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 450개 글로벌 투자자가 참여, 40조달러를 운용하는 'Climate Action 100+' 투자그룹은 ESG 경영을 투자의 주요 판단 근거로 활용한다. 도이치뱅크 2030년까지 ESG 관련 투자가 100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미국 증시 상장지수펀드 수익률 톱10 중 5개가 친환경펀드다.

“기업을 재무 가치로만 판단하는 시대는 끝났다”고 전제한 김 소장은 “ESG라는 비재무 요인이 기업가치를 판단하는 데 있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됐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ESG 대응이 안 됐다는 건 위기 대응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라면서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 관련 기업의 시총이 급감하는 사례가 이를 증명한다"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 상황과 관련, 김 소장은 “일부 대기업은 앞서 전향적으로 준비를 했지만 대다수 기업이 아직 어리둥절한 상황”이라면서 “인식 변화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기업은 ESG가 최고 경영자가 챙겨야 할 이슈로 부상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면서 “경영전략과 위기관리 시스템에 반영하고 자원을 배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소장은 “특히 중소기업은 관련 정보, 대응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가 지원이 필요한 분야를 판단해 대응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새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밝은 전망도 내놨다. 김 소장은 “우리 기업이 과거에는 환경을 비용으로 인식하거나 제한된 사업으로 생각했지만 인식이 전환되면 누구보다 빨리 움직일 것”이라면서 “탄소중립으로 에너지전환과 분산화가 진행될 것이고 이를 디지털화가 촉진할 텐데 우리나라 기업은 에너지역량과 ICT 역량을 그룹사 내 동시에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고 짚었다.

이어 “영국 통신사는 통신용 지하망을 활용해 전기차충전소를 건설키로 했고 미국 반도체 회사는 반도체로 다양한 산업공정 및 수송 효율성을 높여 에너지사용을 줄이기 시작했다”면서 “우리기업이 빠른 추격자 DNA와 풍부한 에너지 경험, ICT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새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김 소장은 “김앤장도 ESG 그룹을 정비, 다양한 ESG 자문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면서 “기업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