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듀폰 투자 유치, 생태계 강화 계기 삼아야

Photo Image
반도체 웨이퍼. <전자신문 DB>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한국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반도체 장비 세계 기업 램리서치가 용인에 연구개발(R&D) 센터를 설립키로 한 데 이어 전자재료 분야의 글로벌 기업 듀폰이 극자외선(EUV) 포토레지스트 생산 설비를 충남 천안에 마련하기로 했다.

이들 투자는 아이러니하게도 지난해 일본이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의 대 한국 수출을 규제한 뒤 나타났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핵심 소재·부품·장비(소부장)의 다변화 필요성을 절감한 국내 반도체업계와 정부 노력 및 해외 기업 간 이해관계가 일치해 생긴 결과로 풀이된다.

반도체 칩은 크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기능은 고도화되고 있다. 미세 반도체를 만드는 일은 칩 제조사만 잘해서 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반도체는 소자 업체의 고도화된 기술과 함께 반도체 장비 및 소재 기술 등이 뒷받침돼야 구현할 수 있는 '종합 예술'이다. 소자 업체와 후방산업 간 협력이 필수이자 중요한 이유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글로벌 분업 체계를 흔들었다. 우리나라 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을 트집 잡아 한국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 꺼내든 소재 수출 규제가 오히려 일본에 부메랑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있다. 일본 수출 규제 이후 한국은 그동안 취약하던 소부장 산업 경쟁력을 육성할 기회를 맞았다. 국민 지지도 어느 때보다 높다. '반짝' 투자만으로 끝나기엔 아까운 절호의 기회다.

듀폰의 이번 투자 결정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 유치가 있었다는 후문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열악한 국내 소재 생태계를 체감한 정부가 적극 지원을 약속하면서 경쟁국에 투자하려던 듀폰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다. 이젠 유치에 그치지 않고 발전시켜야 한다. 국내 소부장업계에서는 '꾸준함'을 늘 강조했다. 국내 생태계를 반도체 연구개발(R&D) 세계 허브로 만들기 위한 정부와 업계의 지속된 관심과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강해령기자 k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