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자율주행·친환경차 등 미래차에 집중"

현대모비스가 실시간으로 생산계획을 공유하는 직서열(JIS: Just-in-Sequence)방식으로 완성차에 부품을 공급하는 모듈사업과 보수용 부품공급을 책임지는 사후서비스(AS)사업을 분할해 현대글로비스와 합병한다. 현대모비스는 제동·조향·에어백·램프 등 부품사업을 비롯해 자율주행·커넥티비티·친환경차 등 미래차 사업에 주력할 방침이다.

Photo Image
현대모비스의 자율주행차 M.BILLY(엠빌리)에 탑승한 연구원이 책을 한 손에 든 채로 손을 흔들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앞으로 엠빌리의 실제 도로 주행 평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13년 수소전기차 '투산ix'에 세계 최초로 연료전지 전용부품을 공급했다. 지난해 충북 충주공장에 약 700억원을 투입, 수소전기차 전용공장을 신축했다. 파워트레인 연료전지 통합모듈(PFC) 연간 3000대 생산이 가능하다. 구동모터·수소연료공급장치·전력전자부품·PFC 등도 생산한다.

현대모비스 핵심부품 개발역량은 자율주행·친환경차와 결합해 고도화되고 있다. 지난 3월 출시된 '넥쏘'의 최첨단 제동기술 '전동식 통합회생제동시스템(iMEB)'이 대표적이다. iMEB는 차량이 감속할 때 구동모터를 발전시켜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이다. 글로벌 부품사로는 세계 두번째로 양산에 성공하며, iMEB 개발 과정에서 109건의 국내외 특허를 출원했다.

넥쏘에는 현대모비스가 개발한 '원격 전자동 주차시스템(RSPA)'도 적용됐다. 운전자가 차에서 내려 스마트키 버튼을 누르면 빈 공간을 인식, 스스로 주차·출차한다. 차량 전후측방의 총 12개 센서가 공간을 탐색, 변속·핸들링·가감속을 자동화한 첨단 주차기술이다. 회사는 올해까지 '자동 발렛주차'기술까지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운전자가 하차하면 자동차와 인프라(주차시설)간 통신기술을 이용해 공간을 찾아 자동 주차하는 형태다.

Photo Image
현대모비스 충주공장 전경. 이 공장은 대규모 친환경차 전용 생산단지로, 구동모터ㆍ수소연료공급장치ㆍ전력전자부품ㆍPFC 등 친환경차부품 생산공장이다.

현대모비스는 졸음운전, 심정지 등 운전이 불가능한 상태를 파악해 안전한 곳을 찾아 자동 정차하는 'DDREM' 기술도 확보했다. 실내 카메라가 운전자의 눈깜빡임·전방주시 여부를 파악하고, 전방카메라가 차선유지 상태를 인지해 주행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현대모비스의 안전 관련 핵심부품은 에어백이다. 지난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파노라마 선루프 에어백'은 전복사고 시 0.08초만에 선루프에 에어백이 작동해 탑승자가 선루프로 이탈하는 것을 막는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전자식 현가(서스펜션)부품인 '전동식 차체쏠림 제어시스템'도 독자개발했다. 모터를 이용해 급커브 시 한쪽으로 쏠림을 방지하는 기술로, 유럽과 일본 소수의 부품업체만 개발에 성공했다. 무엇보다 전동식 차체쏠림 제어시스템은 그동안 비싼 가격 때문에 프리미엄 일부 차종에만 적용됐으나, 대중화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현대모비스는 올 4월부터 자율주행 레벨3·4 개발차량인 '엠빌리(M.Billy)'로 글로벌 평가를 실시한다. 미국 미시간을 시작으로 한국과 독일의 주행시험장과 실도로를 누비게 된다. 엠빌리에는 독자 개발한 카메라·레이더·라이더 등 총 25개의 센서가 탑재했다. 2022년 레벨3 자율주행시스템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Photo Image
현대모비스의 파노라마 선루프 에어백.

현대모비스는 2021년까지 핵심부품 매출 대비 투자비용을 10%로 끌어올리는 한편, 이중 50%는 자율주행 센서를 비롯한 ICT 분야에 집중한다. 현재 600여명의 자율주행 관련 연구인력도 2021년까지 매년 15% 이상 늘릴 방침이다.


박태준 자동차 전문기자 gaiu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