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외교·안보라인은 매파가 장악했다.
미국 정부 외교안보 정책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외교사령탑인 `국무장관`, 안보사령탑인 `국방장관` 등 3인에 의해 주도된다. 트럼프는 지난해 11월 국가안보보좌관에 마이클 플린 전 국방정보국(DIA) 국장, 12월 12일 제임스 매티스 전 미 중부군 사령관을 국방장관, 13일 렉스 틸러슨 엑손모빌 최고경영자(CEO)를 국무장관에 각각 지명했다.
이들은 힘을 바탕으로 국익 최우선을 추구하는 강경파다. 이들 3인 외에 대북정보를 수집하는 중앙정보국(CIA)장 내정자 마이크 폼페오도 매파에 속한다. 이들은 사이버 안보에서도 `기업`보다 `국익`을 앞세우는 `사이버 매파`이기도 하다. 2015년 12월 14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미 서부 샌버너디노 총격 사건 때도 정부 편을 들며 애플을 맹비난했다. 당시 범인 휴대전화 잠금 장치를 해제하라는 미 정부의 요구를 애플이 사생활 침해를 내세워 거부했기 때문이다. 향후 발생할 기술과 프라이버시 문제에서 미 정부와 첨단 기업 간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플린 내정자는 로드아일랜드대 학군단(ROTC) 출신이다. 1981년 임관했다. 33년간 군 생활 중 정보와 특수전 분야에서 오랫동안 근무했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전에서 작전과 정보를 통합한 전술 개발로 주목을 받았다. 2012∼2014년 DIA 국장을 지내면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 참모진과 자주 의견 충돌을 빚었다. 오바마 정부의 소극적 군사 정책을 노골적으로 비판, 대장으로 승진하지 못한 채 전역했다. 플린은 북한에도 강경한 입장이다. 지난해 11월 일본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핵도발과 관련해 “현 체제를 오래 존속시켜서는 안된다. 김정은과 경제적 거래를 할 생각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중부군 사령관을 지낸 매티스 국방장관 내정자는 `매드독`(Mad Dog·미친개)이라는 별명이 말해주듯 강경한 원칙주의자이다. 베트남전이 한창이던 1969년 해병대에 사병으로 자원입대했다. 전역 후 센트럴 워싱턴대 ROTC를 거쳐 1972년 소위로 임관했다.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서 여러 공훈을 세웠다. 이후 제1해병원정군 사령관과 중부군 사령관을 역임하는 등 43년간 해병으로 복무한 `살아 있는 해병의 전설`로 통한다. 그는 북한 정권을 이란 정권처럼 위험하고 신뢰할 수 없는 존재로 인식한다. 2013년 상원 청문회에서 아시아·태평양 역내 동맹에 지지를 표하고 역내 주둔 미군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엑손모빌 CEO인 틸러슨(64) 국무장관 내정자는 미국 언론이 전혀 예상 못한 `깜짝 발탁`이었다. 그는 한번도 국가 정책결정에 참여한 적이 없다. 1975년 텍사스대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생산 부문 엔지니어로 엑손에 입사했다. 1999년 엑손이 모빌과 합병하면서 `엑손모빌개발` 부회장에 올랐다. 2006년 리 레이먼드 CEO가 은퇴하면서 엑손모빌 사령탑을 맡았다. 기업인임에도 매파 성향을 보이고 있다.
CIA 국장 내정자인 폼페오 하원의원은 육군사관학교와 하버드대 로스쿨을 졸업했다. 그는 하원 정보위원회에서 활동할 때 이란 핵 합의에 강한 반대 목소리를 냈다.
이들 매파 외교안보 라인은 북한 변화를 참고 기다리는 대신 초강경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매파 일부는 북한을 `적`이나 `악당`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이 북한을 `악의 축`으로 규정한던 때를 연상시킨다.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 당시 이란과 쿠바, 북한을 거론하며 “적과 악수하겠다”고 공언한 것과 180도 다른 기조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한미동맹을 계속 강화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트럼프가 대선 기간 요구해 온 방위비 분담금 증액도 관심사다. 트럼프와 함께 틸러슨, 매티스 내정자도 인준 청문회에서 유럽과 아시아 동맹의 방위비 분담금 증액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방은주기자 ejb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