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이 지난다고, 세대가 달라진다고 원자력 갈등이 수그러들까요. 누구도 단정하기 어려운 난제입니다. 끝없는 소통 노력과 신뢰 회복이 전제되지 않고는 갈등이 쉽게 종결되지 않을 것입니다.”
원자력은 늘 뜨거운 감자다. 원전을 건설하고 돌리는 과정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늘 논란이 됐다. 최근엔 사용후핵연료(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를 놓고 갈등을 겪고 있다.
허균영 경희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원자력 반대 유발요인으로 사고나 위험성 보다는 불신에 주목한다. 미래 원자력분야 인력을 기르는 선생님으로서, 원자력이 야기하는 사회문제에 늘 고민이 많다. 원자력 안전 관련 세미나나 포럼에 참가해 원전에 관한 청년세대의 생각을 전파하고, 소통의 대안까지 함께 고민해왔다.
허 교수가 원자력 소통에 나서면서 자주 자문하는 것은 “원전을 반대하는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반대하는 사람이 원전을 받아들일 수 있는 선은 어디까지일까?”다.
그는 원자력 소통이 성과를 내기 위해선 무엇보다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동안 경제성장을 거듭하면서 정부 주도로 펼쳐온 원전 정책부터, 지자체 지역 개발계획, 선거때 마다 나오는 공약이 일관성을 잃고 지켜지지 않으면서 사회 전체에 불신이 쌓였다고 지적한다.
“원전에서만 반대여론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반핵단체들이 대안으로 제시하는 신재생에너지, 그리고 석탄과 가스 등 다른 발전소도 수많은 사회적 갈등을 일으킵니다. 원전에 대해 안전과 약속이 철저히 지켜지고 있다는 것이 국민 피부에 와닿도록 느끼게 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정치 논리에 흔들려 현재 원전 유지 정책이 축소 쪽으로 방향을 급선회할 수 있는 것에 우려도 갖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출 이후 각 대학에 원자력 전공이 생기고 많은 학생들이 이 분야에 꿈을 키워왔다. 이제 당시 입학했던 학생들이 졸업해 사회로 나아가야 할 시기다. 하지만 원자력 산업계도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이미 좁은 문이 됐다. 그래도 인류가 존재하는한 원자력 인력은 계속 길러져야하고, 사회에 나와야한다고 믿는다.
허 교수는 있는 그대로 가감없이 정보를 보여주고 국민 이해를 구해야 한다고 조언하다. 또 약속한 것은 흔들림 없이 지켜나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SNS 등으로 소통 창구는 많아지고 쉬워졌습니다. 반면, 경기가 어려워지고 계층간 격차는 커지면서 불만과 갈등 요인은 커지고 있습니다. 대학생 등 우리 미래세대들의 막힘없는 소통이 확산된다면 원전에 대한 오해와 편견도 많이 풀릴 것입니다”
허 교수는 “한국수력원자력이 원전 안전에 많은 비용을 쏟고 있듯, 국민을 설득하고 이해를 구하는 노력도 함께 병행해야 한다”며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문제라면 조금 힘겹더라도 먼저 마주하고, 대화하고, 설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정형 에너지 전문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