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 주요 TV홈쇼핑 6사 7사 조사 발표
공정위에 따르면 주요 홈쇼핑 판매수수료율은 2013년에 소폭 상승했다가 2014년에는 전년대비 0.4% 소폭 감소하는 추세로 돌아섰다. 반면 화장품 수수료율은 1.2% 증가해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TV홈쇼핑 6사(CJO, GS, 현대, 롯데, NS, 홈앤쇼핑)의 납품업체 규모별,상품군별 평균 판매수수료율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12월 26일 발표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12/29/article_29145110175280.jpg)
현대, 가장 높은 판매수수료율
2014년 TV홈쇼핑 판매수수료율은 현대(35.4%)> 롯데(35.3%)> GS(34.9%)> CJO(34.8%)> 홈앤쇼핑(32.5%)> NS(30.2%)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평균 수수료율은 34.0%로 조사됐다.
홈앤쇼핑이 32.5%로 가장 낮게 나타난 이유는 중소기업 판로지원을 위해 2012년 1월 설립된 중소기업 전용 TV홈쇼핑으로 중소기업 제품을 80% 이상 의무 편성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또 NS는 다른 5개 사와 달리 농․수산물 등 식품 판매 비중이 높은 특성으로 인해 판매수수료율 수준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한편, TV홈쇼핑사의 경우, 종합유선방송사(SO) 등에게 지급하는 송출수수료는 총 매출액의 약 11%를 차지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12/29/article_29145224942466.jpg)
중소기업, 오히려 더 높은 수수료
납품업체 규모별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대기업 납품업체 32.3%, 중소기업 납품업체 34.4% 수준으로 오히려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 납품업체 판매수수료율은 현대가 36.1%로 가장 높고, 홈앤쇼핑이 32.6%로 가장 낮았으며 대기업 납품업체에 비해 0.7%p(GS․홈앤쇼핑) ~ 2.8%p(롯데) 높았다. ]
공정위는 “중소기업의 TV홈쇼핑 판매수수료가 대기업보다 높은 이유는 주로 대형가전, 디지털기기, 컴퓨터 등을 판매하는 대기업의 홈브랜드파워, 높은 소비자 선호도, 낮은 반품율, 납품업자 직접배송 등 중소기업과 차별되는 거래조건을 반영한 결과이다”고 분석했다.
전자제품 등을 판매하는 대기업 상품군의 평균 수수료율 25~30%이며 의류, 속옷, 침구, 이미용품, 잡화 등을 판매하는 중소기업 상품군은 평균 수수료율 34~40%로 큰 차이를 나타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12/29/article_29145306873070.jpg)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14/12/29/article_29145350986356.jpg)
화장품, 의류 판매수수료 가장 높다
상품군별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의류, 화장품이 높고 여행상품, 신선식품, 가전제품 등이 낮게 나타났다.
최고 판매수수료율 상품군은 셔츠, 넥타이(42.0%), 진, 유니섹스(40.9%), 여성캐주얼(40.5%), 화장품(37.5%)이고 최저 판매수수료율 상품군은 여행상품(8.9%), 신선식품(21.9%), 보석, 액세서리(22.8%), 대형가전(24.6%) 등으로 조사됐다.
화장품 판매 수수료율 경우 2013년 36.3%에서 2014년 37.5%로 전년대비 1.2% 상승했으며 이미용기기는 2014년 37.9%에서 2014년 36.6%로 1.3% 감소했다..
공정위는 “2013년 6월 마련된 TV홈쇼핑 표준거래계약서 개정을 중심으로 규모유통업체들의 부당 비용전가 행위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고 계약기간 중 판매수수료 부당 변경 등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에 관한 감시를 강화하고 위법행위를 적발할 경우 엄중하게 제재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이나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