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 분류법 일제 일본
혈액형에 따라 성격을 분류하는 이른바 ‘혈액형 분류법’이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혈액형 분류법이 일제의 잔재라는 주장이 나왔다.
ABO 식으로 나눠 사람을 평가하는 혈액형 분류법이 사실은 일본이 자신의 민족을 우상화하기 위해 만든 분류법이라는 것이다.
지난 2월 한림대 일본학연구소 정준영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논문을 발표했다.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은 ‘일본인이 조선인보다 인종적으로 우월하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 혈액형 분류에 집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혈액형 분류법이 일제 잔재임을 지적한 정준영 교수는 “혈액형 분류는 일본민족의 특권적 위상을 당연한 것으로 정당화하고, 식민지배를 하는데 필요했다”며
“우리가 무심코 따져보는 혈액형 얘기 속에 식민지적 근대를 관통하는 지식과 권력의 계보가 감추어져 있다는 사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팀
플랫폼유통 많이 본 뉴스
-
1
정용진 회장, 모친 이명희 이마트 지분 전량 매수…지분율 28.56% 확대
-
2
“롯데리아 부활·컨세션 사업 호조”…롯데GRS, '1조 클럽' 재입성 눈앞
-
3
아모레퍼시픽, 'CES 화제' 뷰티 기기 내달 출시…“신제품 출시·글로벌 판매 채널 확대”
-
4
정용진 책임 경영 의지 보였다…밸류업 이후 지분 매입 '눈길'
-
5
[네이버 쇼핑톡톡] 나만의 공간 위한 아이템 만난다...세일계 최강자 '네이버 강세일'
-
6
카카오, 지난해 매출 7조8738억원…전년비 4.2%↑
-
7
카카오, 오픈AI와 개발 'AI 비서' 연내 공개
-
8
29CM 메인에 '뷰티' 탭 오픈…패션플랫폼, 뷰티 강화 러시
-
9
네이버 치지직, 하얼빈 아시안게임 중계 '특수'…신규 이용자 10배 증가
-
10
공인중개사협회, 법정단체화 재추진…프롭테크 업계 “시장 경쟁 침해 우려”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