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5일 개성공단에서 연 통신·통행·통관(3통) 분과위원회에서 서해 군(軍) 통신선을 복구하기로 합의하면서 개성공단 재가동의 시곗바늘이 더욱 빨라지게 됐다.
정부가 우리측 기반시설 관리 인력의 개성공단 현지 체류의 선결 조건으로 제시한 군 통신선 복구가 6일 이뤄지면 다음주 초에는 한국전력과 수자원공사 등 기반 시설 관리 인력이 개성공단에 체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경우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 18일 전에 개성공단의 시운전 또는 부분적인 재가동이 가능할 것이라는 희망 섞인 관측이 나온다.
이미 지난달 17일부터 방북을 시작한 현지 점검단은 공단의 전기·가스 안전 점검을 비롯해 낙뢰 피해가 발생한 송전탑 복구 및 염소 살포기 교체 등 현 단계에서 할 수 있는 준비를 다 완료한 상태다.
전력의 경우 현재 최소한으로 이뤄지는 송전 규모를 평상시처럼 10만㎾로 끌어올리려면 현지에 한전 직원이 체류하면서 모니터링을 하는데 2∼3일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음용수 공급 재개와 오폐수 시설 가동도 당분간 모니터링할 시간이 필요하지만, 공단 재가동과 병행할 수 있는 작업이다.
애초 오는 10일 열리는 2차 공동위에서 통신선 복구 문제가 결판나지 않겠느냐는 전망을 깨고 양측은 이날 분과위 단계에서 전격적인 합의에 성공했다.
이날 회의에서 특히 북측에서 군 출신인 리선군 대좌가 3통 분과위원장을 맡고, 우리측에서도 군 관계자 1명이 배석하는 등 군 통신선 운용의 주체인 남북 양측 군 관계자들이 협상의 전면에 나선 것이 조기 합의가 가능했던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 3월 27일 북한의 일방적 조치로 단절된 서해지구 군 통신선은 3회선(직통전화·팩스·예비선)으로, 개성공단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비무장지대(DMZ)를 통과해 공단을 출입하는 우리측 인력의 명단을 교환하는 통로로 이용돼 왔다.
권상희기자 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