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영을 지원하기 위한 근무혁신으로 스마트워크가 다시 기업의 경영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2013년 기업의 신년사를 살펴보면 스마트워크 도입내지는 가속화가 경영방침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다. 2010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대통령에게 사무직 근로자의 생산성 향상과 저출산·고령화, 녹색성장의 해결책으로 스마트워크를 제시했다. 정부는 스마트워크센터를 중심으로 스마트워크를 추진해왔다. 스마트워크는 정보통신 기업과 혁신 기업을 시작으로 일반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확산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303/408401_20130326154057_986_0002.jpg)
스마트워크는 잘 되고 있을까. 실제 스마트워크를 시행하는 기업 직원조차 스마트워크를 못하고 있다고 자평한다. `시도 때도 없이 일해 피곤하다` `출퇴근, 대면업무를 중시하는 문화가 상존해있고 직원은 나가라 하면서 프로세스나 시스템 때문에 회사에 돌아와서 업무를 완결하고 있다` `스마트워크센터에 강제 출근시키는 전시행정의 표본이다` 등 스마트워크를 단순히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의 수단으로 보는 경영자 인식이 가장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유는 스마트워크에 대한 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있더라도 조직과 구성원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시행 규칙과 가이드가 있지만 시행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 참여와 소통, 그리고 신뢰 부족이 중심에 있다.
이제 속도와 생산성 위주의 스마트워크1.0에서 참여와 소통의 창조경영인 스마트워크2.0으로 바뀌어야 한다. 창조경영 환경을 조성하려면 구성원의 창조역량 개발과 역량을 발휘하도록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혁신해야 한다. 스마트워크 2.0으로 실현할 수 있다.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고 시행하는데 참여, 소통, 공감이 이뤄져야 한다.
스마트워크2.0이 성공하려면 우선 최고경영자의 전폭적 지원이 필요하다. 전사 프로젝트 팀을 구성하고 프로세스·공간·시스템 혁신, 스마트워크의 지속적인 운영 지원과 창조적인 스마트워커가 필수적이다.
둘째, 프로세스 혁신은 스마트워크 도입의 핵심 주제다. 스마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불필요한 프로세스와 관련된 일, 공간, 시간, 문서 등을 과감히 없애고 아웃소싱과 시스템 등 다른 방법으로 대체해야 한다. 참여와 소통으로 공감할 수 있는 해결책이 나와야 혁신이 지속될 수 있다.
셋째, 사무공간 혁신이 필요하다. 사무공간은 목적에 맞는 명확한 전략을 수립하고, 혁신에 따른 상실감을 해결할 방법도 마련해야 한다. 공용근무 공간, 집중근무 공간, 원격근무 공간을 적절하게 설계하면서 소통과 협업을 위한 다양한 회의 공간과 편의 시설을 보강해야 한다. 관리자 공간을 축소, 변형하는 전략도 있어야 한다. 원격근무 공간인 스마트워크센터도 철저한 수요 분석에 의거해 장소와 규모 및 시설을 갖추고 이에 맞는 운영 원칙을 수립해야 한다.
넷째, 스마트워크 시스템 구축은 스마트워크2.0에 필요한 솔루션과 플랫폼을 고려해야 한다. 끊김 없이 운영하기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효과적인 팀워크 환경을 위한 소셜 컴퓨팅, 신속한 의사소통을 위한 통합 통신환경, 그리고 보안의 우려를 해소 할 수 있는 스마트 보안관리 시스템 도입이 중요하다.
다섯째, 최고경영자의 후원 하에 지속적인 스마트워크 운영 지원이 필요하다. 스마트워크 지원팀을 운영해 토론을 통한 교육, 우수사례 발굴과 홍보, 행정과 시스템 지원 스마트워크 운영 지수를 관리자 고과에 반영해 신뢰와 원칙에 근거한 운영으로 확산 발전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워크 환경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근로자인 스마트워커가 중요하다. 창조혁신 역량, 소셜 역량, 디지털 역량이 필요하다. 창조혁신 역량은 문제 해결, 전략 수립, 새로운 아이디어 발굴을 창조혁신 프로세스를 이용해 시행하는 것이다. 소셜 역량은 내외부 집단과 협업역량, 커뮤니케이션 스킬, 휴먼 네트워킹 역량이 필요하며 디지털 역량은 스마트 디바이스의 활용, 정보검색,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역량이 필요하다.
스마트워크2.0의 궁극적인 목표는 창조경영과 구성원의 행복이다. 돌아다니면서 관찰하고 고민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네트워크로 정보를 교환하고 협업해서 새 비즈니스 모델을 창조할 수 있는 유연한 근무환경이 필수적이다. 또한 스마트워크로 남은 여유를 구성원의 행복을 위한 개인의 스마트 라이프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임규관 스마트윌 대표 kklim01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