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30주년·전자신문 30주년 특집] 국내 첫 인터넷 연결, 국내 최고 IT전문 일간지 탄생

국내에서 첫 인터넷 연결은 30년 전에 이뤄졌다.

1982년 5월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와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의 중형컴퓨터가 1200bps 전용선으로 연결됐다. 국내 최초이자 아시아 최초로 인터넷망인 SDN(System Development Network)이 연결된 순간이다.

Photo Image
SDN망을 이용한 국내 첫 인터넷구성도

국내 인터넷 전문가들은 전자기술연구소와 서울대 간 첫 컴퓨터 네트워크가 성공한 1982년 5월을 국내 인터넷 효시로 본다. 이전에도 컴퓨터 간 연결은 있었지만 SDN이 한국 인터넷의 시초인 이유는 인터넷의 근간인 TCP/IP 및 TFP(file transfer protocol), 텔넷 등 응용프로토콜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SDN을 개발한 전길남 박사는 우리나라 `인터넷의 창시자`로 통한다.

◇국내 최초 전산망 SDN=통신망과 통신망을 연결하는 망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인터넷은 랜(LAN) 등 소규모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형태에서 점차 발전해 현재는 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통신망의 집합체가 됐다.

1982년 구미 전자기술연구소와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간 인터넷 연결을 의미있게 보는 이유는 자연발생적인 다른 나라의 전산망과 달리 국내 연구 기술의 교류를 위해 의도적으로 추진됐기 때문이다. 일본보다 2년 앞섰으며 아시아에서 최초로 이뤄진 것이다.

SDN은 UCLA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연구하던 전길남 박사가 1972년 귀국해 미국 인터넷 연구 참여 경험을 살려 성공시켰다. 이후 전 박사가 카이스트로 자리를 옮기며 카이스트도 SDN에 합류하도록 하는 등 인터넷 기반 마련에 기여했다.

2년 뒤 1984년 우리나라는 공중정보통신망(PSDN)을 개통하며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패킷교환망을 보유한 국가로 진입한다.

당시만 해도 인터넷은 대학교, 연구기관의 전유물이었다. 대학, 연구기관이 인터넷 연동서비스를 선도했으며 1988년 88올림픽, 1993년 대전 엑스포 전산시스템 및 통신망 관련 국가 대형 과제를 지원했다.

◇이메일 `.kr` 도메인 사용으로 인터넷 물꼬=1984년 SDN을 미국 CSNET에 연결, CSNET 관리자와 의사전달을 목적으로 이메일을 사용하면서 전자우편을 송수신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이후 1985년 한국데이타통신에서 이메일 상용서비스를 시작했고 1997년 다음에서 웹을 이용한 이메일을 무료로 제공하기 시작했다.

1986년 전남길 박사가 `.kr` 도메인을 존 포스텔로부터 위임받아 국가 .kr의 행정관리자로 활동했다. 이후 .kr 관리권한을 카이스트에서 한국전산원으로 이양했고, 2008년 .kr 등록건수가 100만건을 돌파했다. 현재 130만건의 .kr 도메인이 사용 중이다.

1986년 인터넷 발전의 또 다른 획을 그었다. 국내 최초 PC통신 서비스 `천리안`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천리안은 국내 데이터서비스 산업 활성화에 기폭제 역할을 했으며 `정보은행`으로서 인터넷 시대의 본격적인 막을 열었다.

그러나 빛이 있으면 어둠이 생기는 법.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최초의 PC 바이러스 `브레인(Brain)`이 등장했다. 브레인은 1988년 6월 국내 최초로 안철수 박사가 개발한 V1(V3의 전신)에 의해 소탕됐고, 이후 1995년 안철수연구소가 설립됐다.

1994년 국내 최초의 인터넷 상용서비스가 한국통신, 데이콤, 아이네트를 통해 시작됐다. 이때부터 일반인들이 인터넷을 손쉽게 사용하기 시작하며 인터넷이용자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기에 이른다.

◇1982년 `전자시보` 창간=대한민국에서 인터넷이 최초로 연결된 1982년 전자신문도 탄생했다.

IT산업의 태동과 성장, 굴곡의 역사를 함께 해온 전자신문은 1982년 발행 당시 주 2회 발행되는 `전자시보`로 출발했다. 이후 1989년 9월 22일 전자신문으로 제호를 변경한 뒤 1996년 4월부터 주 6회 발행하는 일간신문 체제를 갖췄다.

1995년 3월 신문제작 자동화시스템을 갖춘 뒤 1996년 인터넷 서비스를 개시했다. 같은 해 5월 인터넷 영문서비스도 시작했다. 이어 9월부터 32면 체제로 윤전 설비를 보완했다.

1995년에는 아이비즈포럼을, 2000년에는 통일IT(정보기술) 포럼, 통일IT사업단, 게임콘텐츠 포럼을 각각 발족, IT업계의 오피니언 리더 역할을 수행했다. 신소프트웨어 상품대상 등을 통해 우수 국산 SW 제품을 발굴하고, 벤처기업을 육성하는 역할도 꾸준하게 해 오고 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재임 시절 기자단이 모인 자리에서 “국내 일간지 중 아침마다 가장 먼저 보는 신문은 전자신문”이라고 말할 정도로 전자신문은 대한민국 정보화를 대변해왔다.

최근 전자신문은 스마트 혁명의 물결 속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하기 위해 IT전문 매체중에서는 가장 먼저 스마트폰 뉴스 앱 서비스를 시작했다.

전자신문은 아이폰이 국내에 상륙한 2009년도 아이폰 `전자신문` 앱을 발빠르게 출시, 스마트폰 뉴스 앱 경쟁에서 앞서나갔다. 이같은 장점을 인정받아 전자신문 아이패드 뉴스 앱은 2011년 `앱스토어 스탭 추천 앱`으로 선정된 바 있다. 2011년 안드로이드와 iOS 모두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앱도 선보여 편리한 사용자인터페이스와 빠른 속도로 사용자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구원모 전자신문 대표는 “그동안 전자신문은 국내 전자, 과학기술, 정보통신기술 산업 성장과 함께 해왔다”며 “최신 기술 및 산업동향 정보와 미래를 보는 눈을 관련업계와 연구자, 정책당국자에게 제공해 대한민국이 IT선진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디딤돌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구 대표는 또 “전자신문은 지난 30년의 경험과 지혜, 네트워크를 활용해 앞으로도 국민의 눈과 귀를 밝혀주는 IT전문 일간지로서 소임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윤정기자 linda@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