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유지보수전문업체들이 현재 공개입찰형태로 실시되고 있는 정부 및 투자기관의 컴퓨터 유지보수업무를 중소기업의 수의계약형태로 전환해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8일 서울지역 컴퓨터 유지보수업체 25개사가 회원사로 되어 있는 서울컴퓨터유지수리협동조합(위원장 김창식)은 현재 정부발주의 컴퓨터유지보수업무가 공개입찰로 이루어짐으로써 중소기업 형태로 운영되는 유지보수업체들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며 정부의 공개입찰형태의 컴퓨터유지보수 계약을 단체 수의계약 형태로 바꿔 줄 것을 요청했다.
이와 관련 협동조합은 최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 관계기관에 컴퓨터유지보수업무를 단체 수의계약품목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내용의 공문서를 발송했다.
서울컴퓨터유지수리협동조합은 이 공문을 통해 정부의 컴퓨터유지보수업무가 주로 입찰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나름대로 컴퓨터고장수리 노하우를 갖춘 업체들이 입찰에서 탈락하는가 하면 용역을 받은 업체들마저 추가용역확보에 치중하고 고급인력의 부재와 재정난으로 도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협동조합은 컴퓨터의 수요가 크게 늘고 이에 따른 컴퓨터장애에 대한 문제도 심각한만큼 정부가 컴퓨터 유지보수기술을 국자차원에서 육성해야 하며 이와 관련된 각종 지원을 아끼지 말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동조합은 이러한 점에 비춰 정부 및 투자기관의 컴퓨터 유지보수업무를 수의계약 품목으로 지정하고 중소기업의 보호육성차원에서 중소 컴퓨터 유지보수전문업체들이 컴퓨터 유지보수 용역에 단체수의 계약업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 서울컴퓨터유지수리협동조합의 한 관계자는 『협동조합은 25개사가 회원사로 이루어져 있는데다 컴퓨터 각부문에 3백60명의 전문가를 보유하고 있고 컴퓨터 대수가 5백대 이상인 업체에 대해선 전문 수리요원 1,2명을 상근시키는 내부규정을 마련하고 있어 정부 및 투자기관의 컴퓨터유지보수업무를 무리없이 처리할 수 있다』며 『정부의 획기적인 조치』를 촉구했다.
서울컴퓨터유지수리협동조합은 정부가 컴퓨터 유지보수를 단체 수의계약 품목으로 지정할 경우 현재 연간 10억원에 그치고 있는 회원사업체들의 매출이 5배이상 늘어난 50억원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경우 기자〉
많이 본 뉴스
-
1
삼성디스플레이, 애플 폴더블 전용 라인 구축
-
2
단통법 폐지 후 첫 단말기...갤Z7 지원금 혼란 우려
-
3
삼성전자, 가정용 시스템에어컨 '원데이 설치'로 판매 40%↑
-
4
오픈AI, 코딩업체 윈드서프 인수 무산…구글이 CEO 등 영입
-
5
의대생 '학교 복귀' 선언… “학사 정상화 대책 마련을”
-
6
단독네이버 지도에서 편의점 '반값택배' 예약
-
7
의대생들 “학교 가겠다”…교육부 “대학·관계부처 논의 필요”
-
8
김윤덕 국토부 장관 후보자 “주택공급·균형발전·안전, 국민 체감 정책 추진”
-
9
대한항공, 2분기 영업이익 3990억원…전년比 3.5%↓
-
10
한전, 세계 최초 데이터센터 초전도 전력망 추진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