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선명(HD)TV 상용화 시기가 당초 예상보다 늦춰지는 대신 위성방송을 중심으로한 현재의 SD(Standard Definition)급 디지털 방송이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26일 관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애틀랜타올림픽 때 실험적으로 실시할 예정이었던 HDTV 방송이 막대한 자금소요 등의 이유로 무산된데다 최근 유럽연합(EU)도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에 주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HDTV방송이 관심권 밖으로 밀려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국책개발과제로 HDTV 수상기를 개발(94년)한 데 이어 현재 HDTV용 ASIC을 개발중인 우리 전자업계의 연구개발 및 사업화에 영향을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 방송사업자들과 가전업체, 각국 정부로 결성된 EP-DVB를 중심으로 유럽 통일방식의 디지털방송 표준화작업을 추진중인데 디지털 HDTV방송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영국 서섹스대학 앨런 카우슨 교수는 『디지털 직접위성방송(DVB)이 경제적이고 화면품질도 높아 대중적인 시장수요를 형성하게 될 것이라는 점 때문에 유럽은 SD급인 디지털 TV방송쪽에만 주력하고 있다』며 『한국이 HDTV용 ASIC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은 자칫 시간낭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HDTV 방송은 앞으로 15∼20년 이후에 가능하며 중국시장이 가장 큰변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도 현재 다이렉TV사 등에서 방송중인 디지털 위성방송이 성공을 거두고 있고 HDTV 방송에는 방송사들이 난색을 보이고 있어서 상당기간 SD급 디지털 TV방송이 주도할 전망이다.
또 최근들어서는 홀로그램 방식의 입체TV가 속속 발표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HDTV 상용화의 목소리가 낮아지고 있다.
〈이윤재기자〉
많이 본 뉴스
-
1
“BOE, 삼성D 영업비밀 침해…수입금지 해야” 美 ITC 예비판결
-
2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 3년후 10조원 규모로 성장
-
3
네이버, 로보틱스 가속…올해 특허 3분의 1이 '로봇'
-
4
SKT 위약금 면제 종료, 우려했던 엑소더스 없었다
-
5
정부, 'K-조선' 경쟁력 강화 방안 하반기 발표…“한미 조선 협력 본격 추진”
-
6
공공 시스템 '실시간 백업' 시대 첫발
-
7
삼성전자 'RGB 마이크로 LED TV' IFA에서 '첫 선'
-
8
의료AI 첫 분기 흑자 기대↑…'1호 기업' 뷰노 유력
-
9
피엔티 “LFP 배터리, 반도체 유리기판 신사업 육성”
-
10
LG전자, 中과 손잡고 저가형 가전시장 승부수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