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국내 트랜스포머 업체들이 국내생산을 줄이고 해외생산량 확대에 박차를 가하자 업계 일각에서는 이대로 가다가는 국내 트랜스포머 산업이 공동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우려.
대부분의 국내 트랜스포머 업체들은 높아만가는 인건비 및 세트업체들의단가 인하요구와 인력난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건비가 싸고 인력확보가 용이한 중국으로의 공장이전을 가속화하고 있는 실정.
특히 최근에는 단순한 수작업을 요하는 부분은 중국에서 임가공해 들여오는 업체가 늘고 있고 멕시코 및 브라질 등지로 세트업체와의 동반진출을 추진하는 업체도 많아 1~2년 후에는 국내 업체들의 해외생산량이 전체 생산량의 80% 이상으로 높아질 전망.
이와관련 업계 일각에서는 『실제로 현재 이들 업체에서 외주를 받아 코일을 감아주는 등의 작업을 해온 업체들의 일감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데 이는 국내 트랜스포머산업 공동화의 조짐』이라고 지적.
<김순기 기자>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5 학술대회 성황리 개최
-
2
[콘텐츠칼럼]미디어·콘텐츠 생태계 복원 위한 방발기금 제도개편 방향은
-
3
[전문가 기고] 정보보호 핵심은 '기술'이 아닌 '거버넌스'
-
4
[기고]IP 경쟁력 없이 반도체 미래없다
-
5
[IT's 헬스]'치매 100만' 시대…한의치료로 예방한다
-
6
[ET단상]몸의 컨트롤 타워, '척추' 바로 세우기
-
7
[신혜권의 에듀포인트]〈47〉대학의 역할이 변하는데, 평가는…?
-
8
[ET톡] “속는 사람이 있는 게 신기해요”
-
9
[ET단상]집단에너지 활성화로 여는 탄소중립시대
-
10
[김경환 변호사의 디지털법] 〈56〉개인정보 '이용'을 정의한 최초의 대법원 판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