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게티이미지

대학은 한 번의 시험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정시 수학능력시험 전형 확대에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교육부가 대학과 충분한 논의 없이 교육 정책을 발표하는 것에 대한 아쉬움도 표했다.

대학은 1년에 한 차례 치르는 수학능력시험이 학생의 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A대학 총장은 “수능은 1년에 한번 칠 수 있는데 만약 그날 갑자기 아픈 학생은 제 실력을 발휘할 수 없다”며 “시험 한 번에 학생 인생이 좌우되는, 위험 요소가 너무 크다”고 지적했다.

현재 수능 제도를 보완해야 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술형 문제출제나 1년에 두 번 수능시험을 시행하는 식의 대안이다. 객관식 시험으로 구성된 수능으로는 창의력 있는 인재 발굴이 어렵다고 대학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B대학 총장은 “객관식 수능 문제 때문에 학생은 암기식 학습에 매몰될 수밖에 없다”며 “서술형 시험 문제도 출제된다면 이런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암기만 잘하는 학생을 뽑고 싶은 대학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또 다른 대학 관계자는 “1년에 수능을 2번 정도 시행하면 학생의 부담감도 줄일 수 있으며, 실력평가도 어느 정도 객관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공정성을 위해 입시제도를 바꾸는 것인 만큼 기존 수능의 단점을 잘 파악한 뒤 보완할 수 있는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대학들은 교육부가 충분한 합의 없이 정책을 발표했다고 토로했다. 학생을 선발하고, 교육하는 주체인 대학의 목소리가 빠졌다는 것이다. 대학 관계자는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교육부가 갑자기 입시 정책을 발표했다”며 “직접 학생을 선발하고, 육성하는 대학과 충분한 상의가 이뤄지지 않은 점은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입시 정책을 내놔도 비리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생기기 마련”이라며 “문제가 생겼다고 성급하게 입시제도를 바꾸기보다 입시비리를 처벌하고 예방할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