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글로벌 항만물류플랫폼 기반 비즈니스 생태계 개념도. 부산항만공사 제공

부산시가 1500억원 규모 부산항 클라우드 기반 해운항만 물류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공공클라우드 사상 최대 사업이다.

부산시는 12일 부산항에 클라우드 기반 해운항만 물류 플랫폼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클라우드 컴퓨팅 등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도입, 부산항을 글로벌 물류 허브 중심 항구로 도약시킨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이에 앞서 몇 차례 대규모 클라우드 사업을 추진하려다 실패했다. 경남도와 기계부품, 금융, 해운항만 물류 등 지역 주요 산업 전반에 걸쳐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을 추진했다. 이번에는 해운항만 물류 분야에 집중했다.

본사업에 앞서 부산항만공사는 설계 작업을 시작했다. 이보다 앞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기술성 조사와 예비타당성 조사에 막혔던 만큼 준비를 강화한다. 부산항만공사는 '클라우드 기반 글로벌 해운항만물류 통합플랫폼' 구축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실시한다.

부산항만공사 관계자는 “해상운송업체부터 화물·철도운송사 등 다양한 해운항만 물류 주체별로 흩어진 데이터를 수집·분석, 클라우드 기반 정보 공유 플랫폼을 만들 것”이라면서 “물동량 관리, 운항정보 및 컨테이너 수요 확인, 화물 위치 확인 등 시일이 걸리는 기존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지원하는 모델”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부산항 컨테이너. 전자신문사진DB

ISP로 터미널 간 연계 미흡으로 실시간 화물을 확인할 수 없어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정보기술(IT) 운용체계(OS)를 수립한다. 부두별로 터미널 운영사가 달라도 물동량 등을 분석할 수 있다. 터미널 운영사와 물류 주체 시스템 이질화 문제를 해결한다. 정보 공유를 지원할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방안도 마련한다. 항만시스템 보안 수준도 높인다.

전체 구축 사업 규모는 1500억~2000억원 선으로 예상된다.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재재도전인 만큼 부산시가 절치부심해서 준비하고 있다”면서 “내부 예산으로 약 2000억원을 계획하고 있지만 예비타당성조사(예타)나 예산안 심의 과정 등을 거치면 1500억원 안팎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항 클라우드 시스템 도입 타당성과 기술 수요만 확실하면 예타 통과 가능성은 높다. 행정안전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가 최근 공공 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도입에 적극적이다. 오거돈 부산시장 추진 의지도 높다. 과기정통부는 물론 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와 공동 사업으로 추진하는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부산시에서 아직 기획서가 올라오지 않았다”면서 “기획서 기술성과 타당성 등을 종합 고려, 필요한 사업이라는 판단이 서면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KISTEP 기술성 검사와 예타 신청은 늦어도 내년 초까지는 이뤄진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