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이 기존 '수동형 냉각 복사 소재'에 여러 가지 색체 표현 기능과 유연성을 더하는 소재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Photo Image
GIST 연구진이 개발한 냉각 소재 모식도 및 기존 소재를 비교한 모식도

수동형 냉각 소재는 최근 떠오르는 냉각 소재다. 지구복사 에너지 파장인 '장적외선'을 방사하고 태양빛을 반사해 별도 전원 없이 주변 온도를 낮춰준다.

연구팀은 은 금속 사이에 질화규소와 이산화규소를 적층해 유연성을 더했다. 질화규소와 이산화규소는 장적외선을 방사하는 역할을 한다. 나노미터(㎚) 두께만으로 기능해 소재 유연성도 확보할 수 있다. 개발 소재 표면 온도는 주변 대기보다 최대 5.6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 표현은 은-이산화규소-은 적층 구조를 통해 구현했다. 이 구조는 특정 색 파장만 강하게 흡수하고 다른 색 파장은 반사시키는 성질을 가진다. 구조 두께를 조절하면 흡수 및 반사 파장을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Photo Image
송영민 GIST 교수

연구팀은 개발 소재가 냉각 성능은 유지하면서 유연성 및 심미성을 확보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송영민 교수는 “기존 수동형 냉각 소재의 기능을 가지면서 한계점인 유연성과 광공해 문제를 해결하고 심미 요인까지 더했다”며 “시각 예술을 고려한 건물 외벽, 차량 외장재, 조형물, 웨어러블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