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아동음란물 유통 사이트 운영자와 이용자 검거' '마약 전문 판매 사이트 운영자, 판매상 검거'.

해외 주요 토픽이나 영화에서나 나올 것만 같은 사건이 국내에서 연이어 발생했다. 그 중심에는 마피아와 같은 범죄 조직도, 거대한 음모도 아닌 '다크웹'이 있다.

다크웹은 일반 인터넷 웹 브라우저로는 접근이 어려운 인터넷의 한 영역이다. 과거에도 존재했지만 일부 범죄자, 해커 등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치부됐다. 미국 등 해외에서 마약 거래 등으로 문제가 됐지만 우리나라와는 먼 얘기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위상이 변했다. 암호화폐 활성화와 함께 범죄의 온상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실제 토르 브라우저를 통해 다크웹 접속 통계를 제공하는 '토르메트릭스'에 따르면 국내 다크웹 접속자는 지난 1월 초 1만 명을 하회하다 7월을 기점으로 2만 명까지 치솟았다. 최근 접속자는 소폭 하락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일평균 1만3000여명이 다크웹에 접속하고 있다. 세계 평균 접속은 하루 평균 300만명을 넘어선다.

문제는 여전히 다크웹을 '미지의 세계' 정도로 여긴다. 일반인은 접근하기 어려우며, 이곳에서 발생하는 범죄도 막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다크웹 접속은 유튜브 동영상 몇 편, 인터넷 검색만으로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여전히 관련 기술 개발, 범죄 수사는 더디기만 하다. 최근 대대적인 아동음란물 범죄자 검거에 성공했지만 실상은 미국 국토안보수사국(HSI), 영국 국가범죄청(NCA) 등이 수사 기관 중심이었다.

경찰청 등은 올해 처음 다크웹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도 다크웹 관련 선제적 연구개발(R&D) 대신 기관 등 수요에 따라 움직이는 정도다. 전문가는 국내 수사진의 다크웹 분석 수준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고 지적한다.


다크웹에서 발생한 마약, 아동음란물 사태는 이미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와 범죄의 싹을 틔우고 있다. 이미 발생한 범죄를 단죄하는 것만큼 다크웹 범죄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사전 모니터링 등을 통해 범죄 발생 억지력을 강화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다크웹은 미지의 세계가 아니다.


정영일기자 jung0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