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양식 산업이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융합된 첨단산업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수산 양식업을 미래 식량산업으로써 가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신기술을 적용, 생산성을 향상하는 '아쿠아팜'을 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주요 양식품목 생산원가를 절반 이하로 낮추는 등 오는 2030년까지 10조원 상당의 신시장을 창출하는 '아쿠아팜 4.0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융합기술 성격을 띠고 있는 아쿠아팜 파급효과와 국내외 동향, 자자체 추진 계획 등을 살펴본다.

세계적으로 남획과 기후변화로 인해 어획량이 급감하면서 양식 수산물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아쿠아팜에 대해 세계가 관심을 갖는 이유는 급증하는 수산물 소비량을 공급량이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성 하락은 공급량의 절대 부족을 야기하고, 이는 다시 수산물 가격 상승을 불러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쿠아팜은 장소 제약이 거의 없고, 기후변화 대응이 용이하다. 또 공급량 조절도 가능하다. 양식 선진국들은 지속가능한 양식을 위해 아쿠아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아쿠아팜은 전통산업인 수산양식에 첨단 기술을 융합해 원가를 혁신적으로 절감하고 새로운 시장수요를 창출하는 산업이다. 양식 선진국인 노르웨이는 지난 30년 동안 기술혁신으로 연어 양식 생산원가를 70% 절감하고 수출을 10배 이상 성장시켰다.

우리나라도 아쿠아팜 기술개발과 혁신을 서두르고 있다. 정부가 추진 중인 '아쿠아팜 4.0' 전략은 오는 2021년부터 2030년까지 60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 2030년까지 주요 양식품목의 생산원가를 절반 이하로 줄이고 스마트 양식 보급률을 50%로 확대하는 한편 10조원 상당 양식산 수산물 신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다음 달 초 예비타당성 심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그동안 국내 양식기술 호환성이 낮아 기술개발과 확산이 지체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우리 정부는 아쿠아팜 도입을 위해 양식 산업의 분산된 데이터를 디지털화·표준화해 하나의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연결 통합할 예정이다. 이미 구축한 해역과 유전체 정보를 비롯해 수질, 생육, 기기모니터링 정보까지 통합하고 표준화하기로 했다. 이를 다양한 연구자, 업체가 공유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방식 플랫폼으로 개발해 표준 양식 데이터뿐만 아니라 AI 데이터 분석·가공까지 제공할 방침이다.

또 수질과 생육, 기기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의 사육 알고리즘을 도출하고 지능형 양식장 제어를 통해 적정투입·최적제어를 달성해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등 생산원가를 낮추는데 기여한다는 복안이다. 유전체와 생육 정보를 융합하고 AI를 활용해 품종 발생 및 성장기간 단축, 우수종자 생산 등 양식 기술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정부는 개발 기술이 양식장 현장에까지 전달되고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기술 확산 전략에도 중점을 둔다. 스마트 양식 테스트베드를 통해 고품질 데이터를 축적해 초기 서비스를 개발하고, 단계적으로 민간 양식장에 표준화 기술·설비를 보급하며 데이터를 공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가상양식장 시스템, 즉 디지털 트윈과 5세대(G) 기반 증강현실 서비스도 개발한다. 일반 양식어민도 간단한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기술을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기술혁신에 따른 원가절감·품질개선 효과가 실제 시장 창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을 확충해나갈 계획이다. 충분한 시장이 존재하고 단기간에 생산성 향상이 용이한 전략 품목을 선정해 우선 투자하고 아쿠아팜 4.0 통합브랜드를 개발, 플랫폼에 참여하는 중소 양식장 및 기술기업의 효율적인 국내외 마케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아쿠아팜 4.0 전략을 통해 양식 산업을 디지털 데이터로 연결하고 AI를 활용한 양식기술 혁신, 양식현장과 연계한 기술 확산, 국내와 신시장 창출 등을 추진해 지속가능한 양식 산업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쿠아팜 4.0 브랜드와 대형 유통플랫폼과의 제휴를 추진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크라우드 펀딩 등 국내외 투자자와 양식 기업 간 연계 서비스를 제공해 투자를 원활히 유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러한 방침에도 불구, 스마트 양식 기술을 향한 국내 여건은 갈 길이 멀다는 의견도 나온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양식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수준 이상 자동화 구축이 이뤄져야 하지만 국내 대부분 양식장 수준은 아직 3차 산업 수준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양식업 현장과 어업인이 느끼는 체감 효과는 정부 정책 의지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국내 양식시장은 규모가 작고, 업체들은 전략 품목에 대한 선택과 집중 대신 다품종 소량생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점은 아쿠아팜 도입에 최대 걸림돌이다. 영세한 양식장의 경우 첨단 기술을 도입하기에는 부담스런 상황이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아쿠아팜 활성화를 위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정보기술과 융·복합 기술을 통한 첨단 기술 보급부터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