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소재·부품·장비 기술 자립화가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1002개사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 수출 규제에 따른 기술개발 관련 애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0.7%가 막바지 제품 개발 단계에 이르렀다고 답했다. 제품 개발을 완료해 상용화까지 필요한 시간을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34.1%가 '6개월~1년'이라고 응답했다. '1~3년'은 30.3%, '3개월 이내'는 14.0%, '3~6개월 이내'는 13.0% 응답률을 각각 보였다. 기술 개발 완료 후 납품에 대해서는 79.6%가 협의가 완료됐거나 협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20.3%는 판로가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처를 발굴할 때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성능·내구성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23.4%로 가장 높았다.

제한적인 설문조사 결과겠지만 국산화 성과가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니 반가운 소식이다. 정부가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고 산업계가 호응한 덕분이다. 일본 규제가 원인이었지만 핵심 소재와 부품의 기술 자립은 반드시 필요하다. 세계 경제 질서가 점차 보호무역주의 체제로 옮겨 가는 상황에서 핵심 분야를 해외에 의존할수록 산업에 주는 위험도가 크기 때문이다. 글로벌 공급망 체계를 감안하더라도 대체 제품이 희소하거나 핵심 전략 품목은 반드시 기술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국산화가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에 목적을 두지 말고 시장을 조성해 줘야 한다. 시장에서 자리 잡지 못하는 제품이나 기술은 수명이 오래갈 수 없다. 게다가 초기 개발 제품은 아무래도 신뢰성 면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렵다. 품질 검증을 확실하게 받기 전까지 수요처도 꺼리는 건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다. 이제부터 정부는 국산화 이후를 고민해야 한다. 대기업 중심으로 판로를 적극 개척해 주고 시장을 마련해 줘야 한다. 국산화 기술이 시장에서 연착륙하도록 생태계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모처럼 불어닥친 기술 자립 열풍이 진짜 산업 경쟁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큰 안목에서 정책 지원과 관심이 뒷받침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