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입법과 예산 심사, 자료 운영에 ICT(정보통신기술) 색을 입힌다. 각 기관 업무에 정보화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전자도서관 원문 데이터베이스(DB)를 디지털화하고 국가학술정보 클라우드 시스템 등 정보 인프라를 구축한다. 국회의원 입법지원과 예산정책지원 등에도 인공지능(AI)와 빅데이터 등 혁신기술을 도입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ICT를 도입, 국회 선진화를 꾀한다는 문희상 국회의장의 철학과도 일맥상통한다.

Photo Image

23일 국회운영위원회 김삼화 바른미래당 의원(비례)이 국회사무처 등으로부터 받은 '2020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영계획안'에 따르면 국회사무처와 국회도서관, 국회예산정책처, 국회입법조사처 등 국회 내 각 기관은 지난해보다 302억700만원 증가한 총 6711억1100만원의 예산안을 제출했다.

특이할만한 점은 정보화 관련사업 예산이 대폭 늘었다는 점이다. 국회도서관은 전자도서관 운영 예산이 지난해 160억9000만원에서 255억7000만원으로 100억원 가까이 늘었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의회정보 융합분석 시스템 △전자도서관시스템 △국가학술정보 클라우드 시스템 △국회기록통합관리 및 서비스시스템 △전자도서관 DB △정보인프라 등의 구축·운영 등이다.

이중 전자도서관 DB 구축은 지난해보다 74억4700만원이 늘어난 150억원이 반영됐다. 100% 가깝게 늘어난 예산은 국회도서관의 핵심사업 중 하나인 '모든 자료의 디지털화'에 투입된다. 국회도서관 관계자는 “자료 보존 목적의 스캐닝이 아닌, 자료를 디지털, 데이터화해 국회와 정부, 공공기관이나 기업, 학교, 일반인에게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라며 “4차 산업혁명 시대 국가 모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를 구축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국회사무처는 지능형 입법정보서비스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23억5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 변환 서버도 도입한다. 국회사무처의 이 같은 데이터 플랫폼은 앞으로 법률안 심사정보시스템을 통해 'Ctrl+C, Ctrl+V(복사해 붙이기)'로 불리는 유사 법률안을 걸러낼 예정이다. 법률안을 조문단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해 급증하는 의원 발의 법률안에 대한 국민 접근성도 높인다.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조직 내 업무 능률 향상, 대국민 홍보 서비스 강화를 꾀한다. 국회사무처 관계자는 “확장성표시언어(XML)를 이용해 맥락은 같고 글자만 바꾼 유사·중복 법안을 걸러낼 수 있다”며 “네이버 등 대형포털처럼 의원을 검색했을 시 의원이 발의한 법안, 회의록, 통계 등의 자료가 모두 나올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고 소개했다.

국회예산정책처와 국회입법조사처도 정보화 사업을 대폭 확대한다. 국회의원 예산심사 지원과 정부 예산정책에 대한 분석보고서, 입법활동 지원 등에 AI와 빅데이터 등 혁신기술을 도입한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재정경제통계시스템(NABOSTATS) 및 비용추계시스템 DB 갱신한다. AtiveX 기반으로 제공되는 예·결산자료시스템과 지식관리시스템 온라인 비교 및 조회를 Non-AtiveX 형식으로 변환한다. 12억2300만원의 예산이 반영된다.

국회예산정책처 관계자는 “NABOSTATS 갱신을 통한 최신 자료 제공과 추계 기초자료 갱신 사업을 통한 추계분석 소요기간 단축 및 효율성 제고, 안정적 정보시스템 운영과 최신정보기술 도입 및 정보인프라 지속적 개선으로 대내·외 소통강화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국회입법조사처도 9억4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입법 정책관련 정보 제공 및 입법조사 분석 업무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구축·운영한다. 이를 위한 전산장비 서버 네트워크 보안 등 와 각종 소프트웨어를 도입한다. 통합관리시스템 웹표준(HTML5) 기반 고도화 및 액티브X 제거도 진행한다. 시스템이 구축되면 입법조사관의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