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당초 예상처럼 5세대(5G) 이동통신 가입자의 데이터 사용량이 급증했다.

5G 상용화 이후 2개월 동안 5G 가입자 평균 데이터 사용량이 롱텀에벌루션(LTE)의 3배를 초과했다. 5G 가입자의 하루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1.3GB로, 400MB인 LTE 가입자의 3배 이상이다.

LTE 데이터 사용량의 5%에 불과하던 가상현실(VR)·증강현실(AR)이 전체 데이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어섰다.

현재 5G 커버리지는 완벽하지 않으며, 대용량 콘텐츠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앞으로 5G 커버리지가 확충되고 4K 등 5G 전용 대용량 콘텐츠가 출시되면 데이터 사용량은 현재보다 기하급수로 늘어날 게 분명하다.

5G 저변 확대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는 고무적 현상이다. 그러나 5G 네트워크 지속 확충이 절실하다는 의미도 내포돼 있다.

3G 시대와 4G 시대보다 5G 시대에는 데이터 사용량 증가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폭증하는 데이터 사용 속도에 대응하기 위해 이통사는 투자를 늘려야 한다. 그러나 요금을 올리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 데이터 사용 속도에 비해 수익 창출이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통사 네트워크 투자는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 생태계의 경쟁력과 직결된다. 그럼에도 네트워크 투자는 온전히 통신사 몫으로 치부했다. 과거에 그랬다고 5G 시대에도 통신사에 책임을 전가하는 게 옳은지 고민할 시점이다.

당장 5G 특성인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망 중립성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에 발목이 잡혀 있어 시도조차도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하고도 우리 스스로 발목을 잡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궁극적으로 5G 주도권을 다른 나라에 넘겨주는 것은 아닌지 걱정도 된다.

5G 시대라 해도 망 중립성 등 사회적으로 필요한 가치를 존중하는 건 필요하다. 그럼에도 새로운 시대에는 이전과 다른 새 기준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