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이 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전을 대비한 초연결·초지능·초보안 국방 협력 플랫폼을 개발한다. 군과 정부는 물론 민간 기업이 참여·협력해 국방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한다. 모든 것이 연결되고 지능화되는 사회와 보안의 중요성을 고려한 전략이다.

최근 성남 판교 한화시스템 연구소에서 만난 정성헌 한화시스템 지휘통제통신연구소장(상무)는 “최근 남북평화 분위기와 첨단기술 적용 등으로 국내외 안보태세가 변화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초연결·초지능·초보안 세 가지를 국방력 강화 키워드로 본다.

Photo Image
정성헌 한화시스템 지휘통제통신연구소장

정 소장은 “한화 방산계열사와 KAIST 등 연구기관, 이동통신 기업을 비롯해 중소기업까지 참여하는 플랫폼을 조성해 군과 국방부, 민간 네트워크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며 “상호연결과 보완을 통해 시너지를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등 과거 군사기술을 민간에서 쓴다. 이를 '스핀오프'라 한다. 이제는 '스핀온(민간기술이 군사기술에 재활용되는 현상)'이 필요하다. 한화시스템은 AI를 비롯해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탑재한 방산 솔루션 연구개발(R&D)을 확대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지상방산·한화디펜스 등 그룹 내 방산계열사와 협력도 도모한다. 군은 물론 KT와 KAIST 등 외부와 협력도 지속한다. 협업 생태계 속에 국방 협력 플랫폼을 조성해 군 테스트베드로 활용되도록 지원한다.

정 소장은 “인터넷·전자레인지 등 현재 민간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기술이 군에서 시작된 게 많지만 현재 기술 변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이뤄진다”며 “민간기업에서 개발한 기술이 방위사업 등을 통해 군 특성에 맞게 맞춤화 되는 게 일반적”이라고 설명했다.

대표적 예가 민간 와이브로·LTE 기반 기술을 활용해 야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기지국 전송장비다. 전쟁 등 유사 시 네트워크·장비 등이 한 곳에 집중되면 치명적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군전술정보통신체계(TICN)를 마련해 전장환경에 맞게 이동기지국 기반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기업이 개발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지원한다.

AI와 IoT 등 신기술 활용도 마찬가지다. 민간과 군에 제공되는 서비스 성격이나 방법론이 달라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민간에서는 많은 센서를 활용해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데이터센터나 클라우드 등 한 곳에 모아 데이터를 분석해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군은 중앙집중식 시스템 개발보다 분산형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크다. 국방 특성상 신속성과 안전성 확보와 지역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지역별 분산된 센서가 데이터를 수집·저장하고 분석해 적기에 활용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최종적으로 최적화된 지역 정보를 교류하고 공유하는 체계도 필수다. 이러한 수요를 민간이 뒷받침해야 한다.

정 소장은 “국방·방위산업에서는 사업적 의미가 아닌 필요에 의해 일을 시작한다”며 “방산기업은 군에서 필요한 서비스와 제품이 무엇인지 먼저 파악하고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병력 감축과 스마트병영시스템 도입, 드론봇 운용을 위한 지휘통제체계 마련 등 군제도 변화나 새로운 수요에 대응해 방산기업이 토털 솔루션을 제공할 역량을 갖춰야 한다.


한화시스템은 올해 8월 한화S&C와 통합법인 출범으로 정보통신기술(ICT) 역량을 강화했다. 내수 방산시장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개척에 나선다. 미국지사를 중심으로 세계 방산 선도국가인 미국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동남아시아 시장 레퍼런스 확보도 추진한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