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는 총 14건에 이른다. 5월 경북 경산변전소 화재를 시작으로 영암 풍력발전소, 군산 태양광 발전소, 해남 태양광발전소, 경남 거창 풍력발전소 등 전국 신재생에너지 연계 ESS에서 화재가 잇따랐다.

경산 변전소와 영암 풍력발전소, 거창 풍력발전소의 경우 배터리관리시스템(BMS) 오류가 화재 원인으로 지목됐다.

군산 태양광발전소, 해남 태양광발전소, 영동 태양광발전소 등은 일부 현장의 경우 결로나 누수 등 환경요인에 의한 절연 저하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지난 7월 세종시 제지공장에 설치된 피크제어용 ESS에서 발생한 화재의 경우 작업자 부주의가 원인으로 지적됐다.

화재가 잇따르자 산업부는 지난 7월 말까지 한국전기안전공사와 함께 10메가와트(MW) 이상 규모 ESS 58개 설치 현장에서 실태를 조사했다. 하지만 정부 실태 조사 후에도 ESS 화재 사고는 계속 발생하고 있다.

9월 들어 영동 태양광발전소와 태얀 태양광발전소, 한전제주지역본부 내 태양광발전연계용 ESS 등 태양광 연계 ESS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10월에는 신용인 변전소에서 주파수조정용 ESS 화재가 발생했다. 사고는 PCS 파손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11월 들어서는 천안 태양광발전소, 영주 태양광발전소, 문경 태양광발전소, 거창 태양광발전소에서 4건의 ESS 화재가 잇따랐다.

최근 화재 현장의 경우 배터리 제조사가 포함된 조사팀이 정확한 원인을 분석 중이다. 영주 태양광발전소의 경우 정부 실태 조사를 마친 사업장임에도 불구하고 화재가 발생해 문제가 되기도 했다.

ESS 화재가 잇따르자 산업부는 내년 1월까지 전국 1300곳 모든 사업장에 대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기로 했다. 한국전력이 사용하는 ESS이거나 LG화학(400곳)이나 삼성SDI(700곳) 배터리가 사용된 곳은 업계가 진단을 주도한다. 자체 진단 능력이 없는 사업장에는 정부와 업계, 전문가, 유관기관 등이 구성할 특별점검팀이 투입된다.


배터리 업계에서도 ESS 화재가 발생하자 원인이 규명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고객에게 SOC(충전잔량) 운영조건을 95%에서 70%대로 낮출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하기도 했다.


정현정 배터리/부품 전문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