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이 난항에 빠진 비핵화 협상을 풀기 위해 두 번째 담판을 시도한다. 양국이 6월 싱가포르에 이은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 조율을 시작했다. 북미 간 핵시설리스트 제공과 종전선언간 '빅딜'이 성사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다음주 열릴 남북정상회담과 유엔총회 계기 열리는 한미정상회담 등이 주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Photo Image
싱가포르북미정상회담 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0일(현지시간) 백악관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에서 2차 정상회담을 요청했다.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친서의 주된 목적은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또 다른 정상회담 개최를 요청하고 계획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요청에 대해 열려 있고, 이미 조율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샌더스 대변인은 친서에 대해 북한이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준 '따뜻하고 긍정적인 편지'라고 평가했다. 샌더스 대변인이 언급한 '북한의 노력'을 놓고 일각에선 김 위원장이 핵시설 신고 문제에 대해 진전된 입장 표시를 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김 위원장은 5일 우리 측 대북특별사절단에 '트럼프 대통령 첫 임기 내 비핵화 실현'이라는 구체적인 시간표를 제시했다. 9일 북한 정권수립일 열병식에서는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을 동원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북측이 친서를 통해 정상회담을 요청하고, 미국 측도 흔쾌히 나섰다. 북한이 구체적인 비핵화 이행 방안을 제시했을 가능성이 높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보좌관도 이날 “(2차 북미회담은) 올해 어느 시점에 전적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북한은 2차 북미회담을 통해 종전선언을 조기에 이끌어내고, 이를 기반으로 대북제제를 완화해 '경제'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교착상태에 빠졌던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다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주 개최되는 평양 남북정상회담과 이달 말 예정된 유엔총회, 한미정상회담 등을 거치는 과정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모두 발언은 통해 “이제 북한이 보유 중인 핵을 폐기하는 한 차원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가려면 다시 한 번 북미 양 정상 간의 통 큰 구상과 대담한 결단이 필요하다”며 북미 대화 재개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미 간 대화와 소통이 원활해질 때 중재역할을 더 해나갈 것임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평양 정상회담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해 다시 한번 큰 걸음을 내딛는 결정적인 계기로 만들고, 북미 대화의 교착도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국회 협조도 구했다. 그는 “강력한 국제적인 지지와 함께 국내에서도 초당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면서 “중차대한 민족사적 대의 앞에서 제발 당리당략을 거두어주시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전날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보수 야당과 국회 의장단이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함께 가자는 청와대 초청을 거절한 것을 재고해달라는 것이다. 청와대는 이날 한병도 정무수석을 국회에 보내 동행 방북을 공식 요청했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초청 불응 방침을 고수했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4·27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동의 요청안과 평양 정상회담 비용 추계서를 심의·의결하고 국회로 송부했다.

통일부는 이날 오후 6시께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판문점선언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비준동의안과 함께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한 비용추계서도 제출됐다.

비용추계서에 따르면 내년 철도·도로 협력과 산림협력 등 판문점선언 이행을 위해 2986억원이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됐다.


정부는 철도·도로 북측구간 개보수 비용은 차관형식으로 지원하고, 산림협력 비용은 한반도 생태계 복원 등의 의미가 있어 무상 지원할 방침이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