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인도가 아마존, 애플, 페이스북 같은 글로벌 미국 IT 기업에 새로운 규제를 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개인 정보 통제, 신생업체 보호 등을 통해 알리바바나 텐센트 같은 거대 IT기업을 키워낸 중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해 인도도 자국 기업을 육성하려는 전략이라고 WSJ는 설명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입수한 인도 정부의 새 전자상거래 정책 초안에 따르면, 새 규제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고 국내 산업 혁신과 디지털 경제를 자극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나 검색 엔진, 소셜 미디어 등에서 나온 개인 데이터는 인도 내에서만 저장할 수 있게 했다.

이런 데이터에 정부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도 새 규제의 주요 내용 중 하나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인도 당국과 산업계는 거대한 토종 IT 기업을 탄생시킬 기회를 놓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며 "이들은 중국의 규제 정책이 세계적 중국 IT 기업 탄생에 어떤 도움을 줬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은 앞서 이와 비슷한 데이터 저장 관련 규제를 마련했다. 이에 따라 애플은 올해 중국 지역 협력 업체의 서버로 중국 고객 데이터를 옮겨야 했다.

이처럼 중국은 자국 장비 사용 촉진, 검열 강화 등을 통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트위터 등의 영업 활동을 견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규제가 현실화되면 인도 내 미국의 주요 실리콘밸리 기업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데이터 설비 구축과 전기 요금 등에 추가 비용이 필요한 데다 운영 과정에서도 규제가 추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도 시장의 잠재력과 개방성 등을 믿고 앞다퉈 대규모 투자에 나선 아마존 등에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미국 IT기업 관련 업무를 맡아온 변호사 비나이 케사리는 이번 규제 움직임에 대해 "이는 전례가 없는 일로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가 이처럼 실리콘밸리 기업을 대상으로 규제를 강화하려는 데는 최근 발생한 '온라인 헛소문' 사건도 영향을 끼쳤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인도에서는 올해 들어 왓츠앱 같은 온라인 메신저에서 떠도는 소문을 믿은 시골 주민이 여행객을 유괴범으로 오해해 집단 폭행하거나 살인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왓츠앱 등도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미흡하다고 여긴 인도 정부가 직접 데이터 통제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