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일자리수석과 경제수석을 교체하는 수석급 인사 개편을 단행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홍장표 청와대 경제수석을 교체하고 후임에 윤종원 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대사를 임명했다. 반장식 일자리수석도 정태호 정책기획비서관으로 교체했다. 이로써 1여년 만에 청와대 비서실 2기 인선을 확정했다. 청와대 측은 “출범 2기를 맞아 소득 주도 성장과 혁신 성장을 더욱 속도감 있게 실행,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성과를 신속하게 도출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경질 인사가 아니라고 부인했다. 그러나 일자리수석, 경제수석 교체에는 기대만큼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속도감 있는 실행을 위해서”라고 에둘러 표현했지만 그만큼 일자리와 경제 현안이 좌시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는 사실을 인정한 것이다. 실제 문재인 정부 1년을 평가할 때 빠지지 않고 나오는 비판이 일자리와 경제다. 일자리는 오히려 지난 정부에 비해 뒷걸음쳤으며, 모든 경제 지표에 빨간불이 켜질 정도로 민생은 쪼그라들었다. 단순히 사람 교체가 아니라 경제 정책 전반을 원점에서 되돌아본다는 각오로 새로운 경제 밑그림을 그려야 한다.

또 하나 청와대 2기 인사에서 아쉬운 것은 혁신수석이 빠졌다는 사실이다. 혁신 성장은 소득 주도 성장과 함께 문재인 정부의 대표 경제 슬로건이다. 그러나 문 대통령 스스로 인정하듯 성과는 더디기만 하다. 정책 추진 속도도 느리고 방향조차도 모호하다. 혁신 성장을 주도할 추진체가 없기 때문이다. 부랴부랴 김동연 경제부총리에게 총대를 맡겼지만 기대만큼 성과를 낼 지는 의문이다. 혁신 성장은 모든 부처를 아울러야 하고, 부처별 교통 정리와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각종 경제 현안까지 챙겨야 하는 경제부총리 입장에서 이를 전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결국 청와대가 나서야 한다. 전담 수석 체제로 운영하는 청와대에서 확실한 역할을 주지 않으면 추진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혁신수석 신설만큼은 제고해 봐야 한다. 작게는 혁신 성장, 크게는 산업 전반 역동성과 직접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