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는 정부뿐 아니라 기업가 차원의 우주 탐사 시도가 이어지지만 우리나라는 걸음마 단계다. 지구 궤도 밖 행성 탐사 경험이 없다. 지구 위성인 달에 가기 위해 노력하는 수준이다. 그마저도 무리한 개발 일정 탓에 사업 계획이 수차례 번복됐다. 달, 소행성 등 본격적 우주 탐사는 2030년 전후에나 시작될 전망이다. 최근 달 이후 우주 탐사 목표를 설정한 것은 진전으로 평가된다.

Photo Image
달 탐사 상상도(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부는 지난 달 마련한 '제3차 우주개발 진흥 기본계획'에서 달 탐사 사업 연기를 공식화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 달 탐사 계획은 2018년 달 궤도선 발사(1차 달 탐사), 2020년 달 착륙선 발사(2차 달 탐사)였다. 사업 계획 수립 때부터 무리한 일정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달 궤도선 개발 기간이 보통의 인공위성 개발 기간보다도 짧았기 때문이다. '쪽지 예산' 시비도 불거졌다.

결국 지난해 사업 연기가 결정됐다. 2020년 달 궤도선을 발사하는 것으로 수정됐다. 달 궤도선은 우리가 개발하지만 발사체는 해외 로켓을 쓴다. 달 착륙선 발사 일정은 3차 우주계획에서 2030년까지로 미뤘다. 달 착륙선 발사 때는 우리나라가 자체 개발한 로켓을 사용하기로 했다.

정부는 달 궤도선 발사 사업 성과를 평가해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의 안정성 확보, 차질 없는 부품 수급, 선행 기술 확보 같은 조건이 충족돼야 달 착륙선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3차 우주계획의 달 탐사 일정은 '연기'가 아니라 '복원'이라는 게 정부 입장이다. 지난 정부가 기존 일정을 단축했기 때문이다. 박근혜 정부는 1단계 사업 시한을 2020년에서 2018년으로, 2단계 사업 시한을 2025년에서 2020년으로 당겼다. 현 정부 설명을 따르더라도 달 탐사 '완성'이라 할 수 있는 달 착륙선 발사 일정은 처음보다 5년이 밀렸다.

3차 우주계획은 달 이후의 우주 탐사 목표를 설정했다. 정부는 '달 탐사'를 '우주 탐사'로 변경하며 3단계 사업 목표를 '소행성 샘플 귀환선 자력 발사'로 설정했다. 기존 계획은 달 착륙선 이후 달 샘플 귀환선을 다시 보내는 것이었다. 기존보다 도전적 안이다.

소행성 귀환 임무를 수행하면 도킹, 지구 재진입 등 전략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내년부터 기획연구를 시작, 2030년대 소행성 샘플 귀환선을 발사한다는 목표다.


화성 탐사 끈도 놓지 않았다. 국제 협력을 통해 도전한다. 달 탐사, 소행성 귀환 등으로 쌓은 기술을 토대로 2033년 화성에 사람을 보내는 NASA '오리온(OriON) 프로젝트' 참여를 타진한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