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와 산업 발전 형태는 비슷하지만 보수 성향이 짙은 일본이 최근 정부 차원에서 빅데이터 개방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 데이터도 망라, 광범위한 국가 데이터를 쉽게 활용·분석할 수 있는 체계 구축에 나섰다. 정부 정책과 기업 상품·서비스 개발에 효과 높게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데이터의 용어·양식 통일성 부여도 고려 대상이다. 데이터 관리·활용 포털사이트 개설도 추진하고 있다. 빅데이터 규모 확대를 위해 미국, 유럽연합(EU) 등과의 연계에도 나선다.

우리 정부도 공공 데이터를 시작으로 빅테이터 활용 환경을 조성키로 했다. 공공 데이터 개방 요구는 지난 수년간 민간에서 꾸준히 제기됐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중심으로 빅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우선 부처 간 칸막이가 있는 데이터 관련 법·제도를 정비, 4차 산업혁명 토양이 될 데이터 산업 육성에 나선다.

정부는 데이터 활용 가치가 큰 금융 분야부터 빅데이터를 활성화한다. 금융을 테스트베드로 하여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해 나간다. 빅데이터 분석과 이용을 위한 명확한 법률 근거도 마련한다. 익명성 정보와 가명처리 정보의 경우 사전 동의 등 정보 보호 규제를 대폭 완화한다. 금융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해 제공하고 빅데이터 중개 플랫폼을 구축, 데이터 시장 조성을 지원한다.

데이터는 지능정보사회에서 혁신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자원이다. 대량 데이터에서 정보를 도출하는 빅데이터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과 함께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이다.

빅데이터 활용 없이는 어떤 분야도 혁신이 불가능하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빅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가 활발하다. 4차 산업혁명 흐름이 강조되면서 세계 산업 동향에서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감지됐기 때문이다. 빅데이터 산업을 선점하려는 국가도 세계 트렌드에서 소외되지 않으려는 국가도 데이터의 체계화된 관리·활용이 핵심 화두다. 우리도 망설일 시간이 없다. 체계화된 국가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