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3D프린터 업체 공공 조달시장 공급이 대폭 늘었다. 교육용으로 쓰이는 보급형 3D프린터 위주로 활발한 공급이 이뤄졌다. 3D프린터 수요 다변화는 과제로 꼽힌다.

13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지난해 3D프린터 품목 공공조달은 36억6528만원 수준으로 2016년 13억7473만원 보다 2.6배 증가했다. 프린터 납품 수량도 1554건으로 2016년 698건보다 2.2배 늘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학교에서 활용하는 교육용 3D프린터가 공공 조달시장에 주로 공급됐다. 지난해 공공 조달시장에 공급된 3D프린터 기기 평균단가는 213만원이다. 보급형 3D프린터 위주로 공급됐다는 의미다. 3D프린터는 학생이 직접 모델을 제작하고, 소프트웨어(SW) 코딩과 연계되는 등 교육 효과가 크다.

교육용 3D프린팅을 담당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500만원 이하 보급형 모델을 위주로 공공 조달시장에 공급된다”며 “보급형 3D프린터가 공급될만한 교육 시장이 많이 열렸다”고 밝혔다.

업체별로는 신도리코와 메이커스테크놀로지, 하이비젼시스템 등 국내 업체를 위주로 납품됐다. 구체적으로는 신도리코 16억2302만원, 메이커스테크놀로지 11억5862만원, 하이비젼시스템 2억5575만원 순이다. 업계는 국내 3D프린팅 시장은 아직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공 조달 시장을 통한 보급·확산도 중요하다고 설명한다.

업계 관계자는 “민간에서도 대학이나 초·중·고등학교 위주로 3D프린터가 팔린다”며 “국내 3D프린팅 시장이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공공 조달 시장이 차지하는 비율도 꽤 높다”고 밝혔다.

올해 공공시장을 통한 3D프린터 보급은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2022년까지 드론, 3D프린터 등 4차 산업혁명 유망 품목 적극 구매비율을 15%까지 늘린다고 밝힌 바 있다. 3D프린터가 코딩 등 SW 교육 등과 함께 쓰이기 좋은 보조재다. 교육용으로 활용되는 3D프린터 보급이 지속 늘어날 전망이다. 향후 연구실에서 시제품으로 활용하는 등 제품 다변화는 과제로 꼽힌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나온 3D프린터 제품으로도 제조업·연구실에서 시제품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며 “3D프린터 보급·확산을 지속하면서도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표> 2016년·2017년 3D프린터 공공조달시장 납품 실적

출처: 조달청 나라장터

국내 3D프린터 업체 공공조달 시장서 쑥쑥...제품 다변화는 과제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