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슨, 넷마블게임즈, 엔씨소프트 등 대형 게임사가 올해 토종 애플리케이션(앱) 마켓에 게임을 출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게임 산업이 대형사 중심으로 성장했지만 토종 플랫폼은 혜택을 보지 못한 것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이들 3사는 올해 구글과 애플 앱 마켓에 자사 신작을 집중 출시했다. 넷마블게임즈가 상반기에 텐센트가 만든 모바일게임 '펜타스톰'을 카카오를 통해 출시한 것을 제외하면 3사 토종 앱 마켓 게임 출시는 0건이다.

한국 게임이 입점하지 않으면서 토종 앱 마켓 지원은 중국 게임으로 쏠렸다. 12월 현재 원스토어 매출 상위 10위 가운데 9개가 중국 게임이다. 카카오게임샵은 상위 10개 게임 가운데 4개가 중국 게임이다. 토종 마켓이 외산 게임으로 부족한 포트폴리오를 채운 것이다.

Photo Image
원스토어
Photo Image
카카오 게임샵
Photo Image
카카오톡 웹게임 플랫폼 게임별

국내 토종 앱 마켓은 '원스토어' '카카오게임샵' '포 카카오' 등이다. 대형 3사가 구글과 애플에 집중하며 글로벌 플랫폼사는 올해 큰 폭으로 성장했다. 국내 모바일 운용체계(OS)의 70% 이상을 점유한 구글은 올해 한국 게임 부문에서만 약 5000억원의 수수료 수익을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에 지난해 12월 기준 한국 안드로이드 마켓 33%(원스토어 자체 조사, 거래액 기준)까지 성장한 원스토어 점유율은 올해 20% 안팎 후퇴가 전망된다.

게임업계는 토종 앱 마켓을 외면하는 이유로 효율성을 든다. 토종 앱 마켓에 게임을 출시할 자사 역량을 대표 마켓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포 카카오'를 택하면 구글·애플 수수료에 더해 카카오 수수료까지 내야 한다는 것이 부담이다. 구글과 좋은 관계를 맺으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때 유리하다는 인식도 한 몫 한다.

그러나 글로벌 앱 마켓이 국내 시장에서 독과점 위치를 차지하며 장기로는 생태계 교란이 우려된다. 가장 큰 문제는 자금 순환과 중소기업 육성이다.

원스토어나 카카오는 앱 마켓 정착을 위해 출범 초기에 입점 수수료율 인하와 마일리지 적립, 이용자 캐시백 등으로 게임사 수익률을 높였다. 그러나 좀처럼 점유율을 높이지 못하면 이 같은 고비용 정책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경쟁 구도가 없어진 것은 리스크를 키운다. 구글이 진출하지 못한 중국은 자국 내 3자 안드로이드 마켓이 급성장했다.

텐센트, 360, 바이두, 샤오미, 화웨이 등 인터넷 기업부터 하드웨어(HW) 제조업체까지 자체 앱 마켓 생태계를 구성했다. 각 플랫폼 간에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자국 스타트업을 육성한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중국 사례는 특수성을 감안해야 하지만 자국 앱 마켓이 외산 게임으로 비즈니스를 해야 하는 현실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게임산업협회와 토종 마켓이 제휴를 맺는 전략 방안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자금과 플랫폼 대응 능력이 나은 대형사들이 토종 마켓을 지원하자는 것이다.


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30대 이상 구매력 높은 이용자가 많은 모바일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을 토종 마켓에 전략 차원에서 출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시소 게임 전문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