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지금까지 공공 연구개발(R&D) 성과 사업화는 연구자, 즉 공급자 중심이었습니다. 연구가 끝난 다음에 사업화 방법을 찾아서는 기업 요구를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 부분을 개선하는 게 핵심입니다.”

조용범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장은 공공 기술 사업화 체계 고도화의 필요성을 명쾌하게 설명했다. 기술 개발, 검증 단계부터 기업 수요를 반영하겠다는 게 골자다. 최근 이사회에서 시범사업 추진을 의결했다.

기존에는 R&D가 끝난 뒤에 수요기업을 찾아 나섰다. 고도의 기술 개발, 체계적인 사업화 전략이 요구되는 신산업 분야에는 맞지 않다고 판단했다. 바이오기술(BT), 나노기술(NT) 분야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조 원장은 “개선 방안 마련 전에 4대 기술 분야 별로 시장 성장 가능성과 사업화 성과를 살펴봤다”면서 “지금까지 비교적 잘된 IT 분야보다 BT, NT 분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봤다”고 말했다.

진흥원 분석에 따르면 IT 분야는 시장 규모가 가장 크지만 시장 성장 가능성은 NT, BT 분야가 가장 높았다. 건당 기술료도 가장 높았다. 그럼에도 사업화 실적이 저조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파악했다.

BT 분야는 유망기술에 대한 기업 수요가 많지만 기업 맞춤형 R&D가 적었다. NT 분야는 대규모 설비 투자 때문에 기업 위험 부담을 크게 느낀다. 기술 이전에 보수적일 수밖에 없다. 기업은 NT의 신뢰성과 양산성 검증을 원한다.

개선 방안은 기관 대 기관 차원에서 R&D에 기업 수요를 반영하는 게 골자다. 연구기관 내 사업화전담조직(TLO)이 사업화 추진을 원하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특허·인허가 컨설팅을 실시하고, 사업화 모델을 조사한다. 진흥원은 이를 넘겨받아 기업과 연구기관이 사업화, R&D 방향을 수시 공유하도록 연계한다.

진흥원이 이 같은 시범 사업을 추진하는 근본 배경에는 '일자리'가 있다. 공공 분야에서 창출되는 기초·원천 기술 개발 성과가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야 한다는 문제 의식이다. 시범 사업을 실시하기로 한 BT, NT 분야 역시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을 것으로 기대했다.


조 원장은 “BT, NT 분야는 시장 성장 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크지만 사업화 실적이 상대적으로 저조했다”면서 “이런 분야를 우선 집중 지원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