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행복수명데이’ 맞아 서울대 최현자 교수팀 연구 행복수명 결과 발표

한국의 행복수명은 74.6세로 주요 선진국인 독일(77.6세)> 미국(76.65세)=영국(76.6세)> 일본(75.3세)> 등에 비해 5개국 중 꼴찌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공동위원장 이수창 생명보험협회 회장·이경룡 서강대 명예교수, 이하 위원회)는 10월 10일 ‘행복수명데이’를 맞아 ‘행복수명 국제비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조사는 행복수명지표를 이용해 이미 고령사회 및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주요국가들과 노후준비 수준을 비교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노후준비 실태를 파악하고 국민의 노후준비 인식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됐다. 우위원회가 이용한 행복수명지표는 2016년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와 서울대학교 노년·은퇴설계연구소(대표연구자 최현자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노후준비 측정 지표이다.

행복수명지표는 재무적(경제), 비재무적(건강, 활동, 관계) 요소 등 종합적인 노후준비상태 점검을 통해 예상되는 노후의 삶의 질적 수준을 수명의 개념으로 계랑화한 것이 특징이다. 위원회는 지난해 단 하루만이라도 자신의 노후준비 상황을 점검해봄으로써 노후준비 실천을 다짐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백세(10×10=100)를 의미하는 10월 10일을 ‘행복수명데이’로 지정한바 있다.

주요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독일이 77.6세로 행복수명이 가장 길었으며, 그 뒤로 미국과 영국이 76.6세, 일본은 75.3세로 4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은 건강(73.6세), 경제(77.0세), 활동(72.5세), 관계수명(75.2세) 등 4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다른 국가보다 노후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Photo Image

반면 한국, 일본에 비해 독일을 비롯한 영국, 미국 등 서구권 국가들은 다방면에서 높은 노후준비 수준을 보였다. 이와함께 행복수명과 기대수명 간 격차는 한국의 경우 행복수명이 기대수명에 비해 8.5년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5개국 중 4위에 해당한 수치이다. 특히, 응답자 10명 중 7명은 행복수명이 5년 이상 짧은 것으로 나타나 다른 국가에 비해 노후준비에 취약한 계층이 많은 것으로 해석된다.

위원회 측은 “노후에 삶의 질의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 우려된다”면서 “모든 국가에서 행복수명이 기대수명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나 생존기간 동안 행복한 삶을 지속하기 위해 추가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9.5년으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영국이 5.7세, 미국이 4.3세, 독일이 4.2세의 차이를 보였다. 노후 행복요인 선호도는 모든 국가에서 은퇴 후 삶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건강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한국과 일본은 경제적 측면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미국과 영국은 관계적 측면을 더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한국과 일본은 서구권 국가에 비해 건강수명과 기대수명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미국, 영국은 그 차이가 3~5년에 불과하나 한국, 일본은 각각 9.5년, 11.9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한국, 일본이 서구권 국가에 비해 기대수명은 기나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나 건강관리 계획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의 경제수명은 77.0세로 5개국 중 4위이나 경제수명과 기대수명의 차이는 6.1년으로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노후대비 자산이 부동산(약 4만 달러, 5개국 중 1위)에 편중돼 금융자산(약 5.4만 달러, 5개국 중 5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특성을 보였으며 예상 연금수령액 역시 5개국 중 최저 수준인 월평균 756달러에 불과해 노후에 안정적 소득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분석됐다.

중증질환 의료비와 간병비 예상 지출액은 1만 5천달러 수준으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이를 보험으로 충당 가능할 수 있는 비중이 40% 수준으로 노후에 크게 증가하는 의료비에 대한 대비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일·영국 등 유럽권 국가의 경우 미국·한국·일본에 비해 노후 의료비 예상액이 크게 낮았으며, 이는 국가 간 의료복지체계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에 이어 ‘행복수명 국제비교’ 조사를 맡은 서울대학교 최현자 교수는 “한국은 5개국 가운데 행복수명이 가장 짧고, 모든 영역에서 노후준비 상태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노후 대비 자산구성이 부동산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금융·연금자산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또 “자산규모에 비해 노후의료비 지출 예상액이 높아 가계위험관리 측면에서 이에 대해 충분히 대비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이수창 위원장은 “이번 행복수명 국제비교는 한국의 노후준비 수준의 현 위치를 진단하고 개선점을 찾을 수 있는 아주 소중한 자료”라고 강조하며, “위원회는 본인의 행복수명을 진단해볼 수 있는 서비스를 지난해부터 제공하고 있으니 이를 활용해 자신의 노후준비 수준을 점검해보고 노후준비를 실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본인의 행복수명은 ‘행복수명 자가진단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PC, 모바일을 통해 진단해볼 수 있다.


전자신문인터넷 소성렬기자 hisabis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