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정부 행정시스템 변화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클라우드 활용이다. 클라우드는 폐쇄성을 자랑으로 여기는 행정 문화에 균열을 일으키고, 나아가 개방과 협업할 수 있는 행정 문화를 키우는 지름길이라 할 수 있다. 그만큼 열린 행정을 위한 필수 단계가 바로 클라우드라 할 수 있다.

이런 차원에서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27일 중앙부처에서 생산하는 모든 기록물을 통합 보관·활용하는 클라우드 기록관리시스템(CRMS)을 보급하고 쓰기로 한 것은 대단히 고무되는 조치다. 부처별 별도로 운영하던 국가기록물을 클라우드로 통합함으로써 효율적 기록물 관리와 비용 절감은 물론 국가기록물의 2차 활용 및 행정 목적 분류·검색 기능도 강화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문제는 지금까지 정부3.0 같은 이름으로 클라우드에 일부 올린 자료들의 특성이다. 대부분이 문서 형태 파일이고, 심지어 검색과 분류가 불가능한 pdf 파일 형태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렇게 해선 클라우드 활용의 의미가 전혀 없다.

클라우드는 공공성과 효율성, 동시에 보안성까지 만족시키는 수단이다. 이번 CRMS가 범정부 차원에서 확산돼 대한민국 정부 정책 클라우드로 통합되려면 빅데이터 시대를 대비해 데이터화한 정책 자료와 보고서·제안서 등이 많이 쌓이면 쌓일수록 좋다. 그래야만 데이터 정제가 가능하고, 정책 효율성 예측 및 정책 효과 평가에까지 클라우드가 활용될 수가 있다.

개방 자체에 만족하고 끝내선 안 된다. 클라우드 개방과 활용은 길게 보고 뚝심 있게 가야 한다. 이번 정부는 마지막까지 설령 손에 잡히는 성과가 안 나오더라도 포기하지 말고 클라우드에 '쓸모 있는 정책'을 올리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열린 행정과 국민 신뢰 회복은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