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가 변하고 있다. 회색빛 공장건물과 부족한 근린생활시설의 딱딱한 이미지에서 산업과 젊음이 함께 공유하는 스마트 산업 현장으로 진화한다. 세계화, 무한기술경쟁, 저성장 기조에서 4차 산업혁명 가속화에 따른 혁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 거점으로서 산업단지 중요성과 가치를 재조명 해 우리나라 제조업의 미래를 열어가야 할 때다.

Photo Image
남동국가산업단지 전경.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제조업 중심의 산업단지 모델을 신산업과 융복합 산업이 성장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22일 서울 G밸리컨벤션에서 열리는 '2017 산업입지 컨퍼런스'를 통해 미래형 산업집적지 모델과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고, 현 정부에서 새롭게 추진할 스마트 산단 조성계획을 수립한다.

산업단지는 현재 전국적으로 1161곳이다. 9만3377개사가 입주했다. 216만명이 근무한다. 2015년 기준 전국 제조업 생산의 68.5%(979조원), 수출의 73%(3863억달러)를 담당한다.

반세기 동안의 성장에도 지금 산업단지는 변화의 요구에 직면했다. 높은 분양가와 분양 중심 입지 제공으로 창업의욕 단절, 중소기업 경쟁력 하락 문제를 안고 있다. 영세 중소기업과 임대공장 증가, 에너지 다소비, 환경오염시설 집적지라는 부정적 인식도 문제다. 조성된 지 20년이 지난 노후산단만 412곳. 환경변화에 즉각 대응하지 못하면 비슷한 이유로 쇠락한 미국 러스트 벨트 사례를 경험할 수 있다.

산업단지공단은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미래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단지 입지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기술창업 활성화로 일자리를 늘린다는 구상이다. 기존 산업단지는 특정 지역에 제조공장을 밀집시켜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앞으로 추진될 스마트 산단은 산업과 주거, 문화가 함께 공존한다. 젊은 일꾼이 다시 찾고 지역주민 인식도 개선하는 방향이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에 기반을 둔 신산업은 특성상 대규모 입지보다는 생산·지원기능이 함께 갖춰진 융복합 공간 수요가 크다. 지금의 산업단지는 전통 제조업 위주로 생산시설이 모여 있다. 지식산업·IT산업·기업지원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 비중이 낮다. 지식산업 입주 범위를 넓히고 산업환경 변화에 대비한 관리기본계획이 필요하다. 입주 규제 등 제도 유연성을 확대해 신산업 발전을 촉진해야 한다.

Photo Image
서울디지털산업단지(G밸리)의 모습.

산업단지 노후화는 시장변화 대응능력 상실, 경쟁력 하락, 취업 기피현상 등으로 이어진다. 산업단지공단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SW, ICT 인프라 융복합 등 노후산단별 전략산업을 육성한다. 제조공정 스마트 기술 수입을 가속화한다.

산업단지 스마트화로 입주기업 간 온라인 정보 교류와 거래 플랫폼을 구축한다. 기업이 제품·기술거래, 채용·일자리, 공동구매, 교육 분야에서 실질적 이익을 창출하게 돕는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 제조업 혁신 추세에 따라 단순 생산중심의 산업단지 기업 체질을 개선하고 창업 활성화에 주력한다.

산업단지공단 관계자는 “지금 산업단지는 창업에 유리한 조건을 갖췄지만 효과적인 창업 지원 시스템은 취약하다”며 “창업지원시스템과 생태계를 구축해 신산업·융복합 분야 기술창업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 산업단지 현황>

<산업단지 유형별 실적>






['스마트 산업단지' 미래 경제 해법]<상>산업단지 변화와 혁신이 필요
['스마트 산업단지' 미래 경제 해법]<상>산업단지 변화와 혁신이 필요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