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국가 재정을 통합 관리하는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디브레인)의 차세대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가동 후 10년 만의 첫 차세대 사업이다. 1000억~2000억원의 대규모 투자가 예상된다. 정부는 디브레인을 구성하는 약 20개 시스템을 전면 교체할 방침이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등 주요 소프트웨어(SW)는 국산 전환을 고려하고 있다.

13일 정부와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하반기 중에 디브레인 차세대 프로젝트를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에 나섰다. 시스템 구축 작업은 내년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디브레인은 중앙정부의 예산 편성과 집행, 자금관리, 국유재산·물품 관리, 회계결산을 통합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중앙부처 공무원 등 유효 사용자가 6만4000명 이상이고, 하루에만 47만건의 업무 처리와 7조1000억원의 자금 이체가 이뤄진다.

기재부는 2007년 디브레인 가동 이후 10년 동안 크게 달라진 재정·정보기술(IT) 환경을 반영, 차세대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디브레인을 구성하는 사업관리, 예산, 회계, 통계분석 등 약 20개 시스템을 전면 교체할 계획이다. 시스템 전반의 성능과 보안 수준도 대폭 강화한다.

내년에 차세대 프로젝트를 시작하면 마무리까지 2~4년 걸릴 전망이다. IT 업계는 투자비가 총 1000억~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디브레인은 10년 전에 구축할 때도 약 660억원이 투입됐다.

IT업계 관계자는 “첫 구축비인 660억원을 현재 가치로 계산해도 1000억원은 넘을 것”이라면서 “최근 유사한 차세대 프로젝트를 고려하면 2000억원이 넘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과거 구축비 수준의 예산 투입을 예상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그동안 수차례 교체된 하드웨어(HW) 부문의 투자는 많지 않을 것”이라면서 “예산을 되도록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재부는 차세대 프로젝트 추진 시 디브레인 수출, 이달에 개통한 국고보조금통합관리시스템과의 연계 강화, 그동안 변동된 재정 제도 등을 함께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디브레인은 유엔 공공행정상 대상을 받는 등 우수한 성능을 인정받았지만 높은 가격 때문에 개발도상국으로의 수출에는 어려움을 겪었다.

기재부는 DBMS 등 주요 SW의 국산 전환도 검토하고 있다. 국산 SW 성능이 그동안 많이 향상됐고, 외산 SW의 유지보수 비용이 높은 점을 고려했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한 정보를 체계화해 관리하는 SW다. 현재 미국 오라클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국산 DBMS 적용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견 시스템통합(SI) 업체가 이번 프로젝트에 관심이 높다. 과거 디브레인 구축은 삼성SDS가 맡았다. 그러나 2013년에 개정된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시행으로 대기업 SI 계열사는 공공 부문 사업 참여가 제한됐다.


업계 관계자는 “1000억원 이상 사업은 최근 SI 시장에서 몇 안 되는 대규모”라면서 “중견 SI기업의 관심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선일 경제정책 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