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설 국가핵융합연구소가 사업 규모를 키운다. 기초 연구 수준에 머물던 '핵융합'이 미래 대안 에너지 기술로 부상하는 것에 대응한다. 본원과의 이질성과 조직 규모 역전 현상 등을 감안해 기관을 분리·독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3일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국가핵융합연구소(이하 핵융합연) 내년도 예산이 올해에 비해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핵융합연의 정부 출연금은 본원에 해당하는 기초과학지원연구원(이하 기초연)과 비슷하지만 국제협력 사업 등 정부 수탁 사업 예산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도 '규모 역전'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Photo Image
국가핵융합연구소

핵융합연은 기초연 부설기관으로 독립 연구원이 아니다. 올해 예산과 인력은 기초연보다 많다. 핵융합연의 연간 예산은 약 1800억원으로 기초연보다 700억원 많다. 정규인력은 287명으로 14명 많다.

핵융합연 관계자는 “핵융합 연구는 국제협력 사업 비중과 거대 시설 투자 비중이 높다”면서 “ITER 프로젝트 일정, 플라즈마 연구 시설 건립 일정에 따라 예산 변동이 생긴다”고 설명했다.

이런 현상은 정부 출연연구기관(출연연) 전체로 봐도 이례적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가보안연구소, 한국식품연구원은 세계김치연구소, 한국기계연구원은 재료연구소, 한국화학연구원은 안전성평가연구소를 각각 부설기관으로 뒀다. 이들 가운데 부설기관 규모가 본원보다 큰 곳은 없다.

핵융합연이 확대된 것은 세계 기술 동향과 관련이 깊다. 핵융합은 '인공태양' 기술로 불린다. 에너지를 생성하는 원리가 태양과 비슷하다. 기존 원자력 발전이 핵 분열 현상을 이용하는 반면, 핵융합은 가벼운 원자핵 2개가 하나로 합쳐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한다. 핵 분열보다 효율이 높고, 방사성 폐기물이 없다.

핵융합은 청정 대안 에너지 기술로 주목받는다. 기술 난도가 지나치게 높은 것은 단점이다. 이 때문에 프랑스에 ITER 실험로를 짓는 7개국 공동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2040년대 핵융합 발전 상용화가 목표다. '기초 연구'를 넘어 '사업화' 단계로 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핵융합연 중심으로 프로젝트에 참가, 2040년대 핵융합발전소 건설 기술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연구소는 1996년 한국형핵융합로 건설,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기술 개발을 목표로 설립됐다. 한국형 초전도 핵융합연구장치(KSTAR)를 개발해 운용한다.


설립 초기와 연구 성격, 규모가 달라진 만큼 연구소를 분리, 독립해 연구원으로 승격하자는 의견도 나왔다.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출연연법)' 개정안이 지난 상반기 국회에 제출됐다.


송준영기자 songj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