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사회문제해결형 프로젝트 중심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클라우드와 데이터 활용 규제가 교육현장 개혁의 발목을 잡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창조경제연구회(KCERN)는 27일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정기포럼을 개최했다. 학습의 목표가 지식습득이 아니라 창조적으로 지식을 창출하고 편리하게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게 요지다.

전문가는 4차 산업 인재상으로 창조성과 감성을 바탕으로 한 '협력하는 괴짜'를 제안했다. 협력하는 괴짜를 키우기 위해 지식이 아닌 사회문제해결형 프로젝트 중심 교육(SPBL)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다.

특히, 기존 지식교육은 MOOC로 대체되고 자칫 떨어질 수 있는 집중력은 △플립 러닝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게임화로 보완하고 SPBL과 MOOC를 융합하기 위해 에듀테크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민화 KCERN 이사장은 “초중고 교육은 기존 교육의 에듀테크화, 자유학기와 방과후교육 및 코딩과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로, 대학은 SPBL과 지재권 중심 산학협력의 재탄생으로, 평생교육은 에듀테크 기반의 직무교육과 'N모작' 평생교육 체계 확립으로 각각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영탁 휴넷 대표는 “에듀테크로 인해 교육은 인공지능 교사의 등장, VR/AR기반의 현실보다 실감나는 교실, 학생이 교사가 되고 교사가 학생이 되는 세상, 게임과 교육의 접목, 새로운 커리큘럼의 등장, 전통적 학교의 종말이라는 주제로 전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각종 규제 개선도 요구된다. 클라우드를 교육 현장에서 사용하려고 해도 학부모와 학교장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무선인터넷 인프라도 과도한 규제로 확산에 어려움을 겪는다.

김영곤 교육부 대학지원관은 “교육부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혁신을 추진한다”면서 “컴퓨팅 사고와 인성, 감성 등 미래사회 요구 역량을 키우도록 초·중등 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산학협력과 창업 활성화로 문제해결형 인재 육성 및 청년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겠다”고 덧붙였다.

Photo Image
4차 산업혁명 시대 교육 방향. 제공=KCERN

문보경 산업정책부(세종)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