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초반에 경제 선진국 일본의 인터넷통신망을 경험한 사람은 하나같이 불편하고 느린 통신 인프라에 혀를 내둘렀다. 그리고 정보기술(IT) 강국 코리아에 자부심을 느꼈다.

당시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우리 통신 인프라에 대해 찬사를 늘어놓았다. 그 인프라를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의 IT 테스트베드로 자리 잡으며 빠른 성장의 기회를 잡았다.

2000년대 초반에 우리가 영위한 초고속인터넷 인프라는 김대중(DJ) 정부의 정책 결정이 주효한 결과였다. 문재인 정부는 과거 정부보다 한 발 더 나간 IT 인프라 구축 정책을 구상하고 있다.

차세대 통신망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투입 장비의 국산화를 함께 도모할 계획이다. 정부 예산을 일부 투입해 국산 장비 경쟁력을 기르고, 그 결과물로 통신망 인프라 구축 비용을 낮추겠다는 포석이다. 구축 비용이 낮아지면 통신비 인하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통신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핵심 장비는 고가인 외산에 의존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통신사업자, 장비업체, 대학, 연구소 등 산·학·연·관 전문가로 전담팀을 조직하고 10기가인터넷 기반 조성 사업 논의를 시작했다. 10기가인터넷은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와 사물인터넷(IoT), 초고화질(UHD) 콘텐츠 확산 등에 대비하기 위한 필수 네트워크다. 올해 사업계획을 마련하고 내년부터 10기가인터넷 기반 조성 사업에 나선다.

10기가인터넷 기반 조성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의 IT 산업 공약에 기반한다. 후보 시절에 5G 인프라 구축을 정부가 주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래부가 논의를 시작하면서 우리 기업 주도의 표준화와 장비 국산화, 민·관 공동 프로젝트라는 발전된 형태 및 목표를 갖게 된 것이다.

고속도로가 뚫리면 자연스럽게 자동차가 몰린다. 마찬가지로 5G 10기가인터넷이 상용화되면 트래픽도 현 1G에 비해 10배로 늘어난다. 미국, 영국, 일본 등은 이미 10기가인터넷 상용화에 착수했다. 대용량 네트워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필요 조건이다. 우리 기술(표준)과 장비를 활용하는 철저한 '한국형'으로 진행, 과거보다 한 단계 진화된 프로젝트로 승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