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형병원 간 첨단 정밀 의료 서비스를 위한 빅데이터 전쟁이 한창이다. 데이터를 많이 확보하면 할수록 정확도가 높아지는 특성상 데이터를 우선 모으는데 집중한다. 모아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분석할 빅데이터센터 설립과 분석 인력 확보에 사활을 걸었다.

앞으로 의료 서비스는 전통의 의사 개인 능력에서 판가름 나지 않고 예측하고 진단할 뿐만 아니라 신체 상태에 가장 적합한 치료법과 사후 관리 방법까지 제시하는 통합 생명 관리 서비스로 진화할 것이다. 병원들이 빅데이터를 의료 서비스 차별화에 활용하려는 것도 이런 변화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몸부림이다.

문제는 병원들이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병원 빅데이터는 자기 병원 환자의 빅데이터일 뿐이다. 개인 정보 보호를 근거로 하는 의료 정보는 철저히 국가 법·제도에 꽁꽁 묶여 있기 때문에 병원 담을 절대 넘어서지 못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합 생명 관리 서비스는 우리 국민은 물론 인류 전체에까지 적용 범위를 넓혀 가야 할 인류 복지 보편 기술을 지향해야 한다. 이를 한 국가도 아닌 한 병원의 내원 환자 정보로만 묶어 놓는다면 그것은 그야말로 바늘로 모래알을 세겠다는 것과 같다.

병원 자체 노력과 함께 정부 차원에서 의료 빅데이터 규제를 풀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제도 전환이 시급하다. 개인 의료 정보는 중요하다. 그러나 규제를 푼다고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은 누구의 정보인지도 모르는 것을 쓰지도, 보지도 못하게 만들어 놓은 상태다. 데이터 분석가들이 광범위하게 처리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열어 주되 누구의 정보인지 연결만 불가능하도록 만들면 된다.

정부의 의료 빅데이터 개방·활용은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나라 의료 복지의 첫 번째 시금석이 될 것이다. 막는데 급급하지 말고 잘 쓰면서 잘못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시각 전환이 필요하다.

Photo Image